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318
어제:
433
전체:
765,619

格物致知

2013.04.04 06:39

이규 조회 수:1632

格바를격
物만물물
致이를치
知알지


 군자가 되기 위한 인격수양 방법


  宋나라는 人倫과 忠節을 바로 세우는 것이 급선무였다.  그래서 四書(大學, 中庸, 論語, 孟子)를 만들어 君子의 필독서로 삼았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다.  [大學]에 보면 君子가 되기 위한 八條目(格物, 致知, 誠意, 正心, 修身, 齊家, 治國, 平天下)이 나오는데 이중 가장 중요한 格物과 致知는 옛날부터 해석이 빠져 있었기 때문이다.
  맨 처음 그 해법을 제시한 이는 朱子였다.  ‘만물은 모두 理致를 가지고 있는 바, 그 이치를 하나 하나 케들어 가면 활연(豁然)히 만물의 이치를 깨달을 수 있다’고 하면서 格物致知를 ‘사물의 이치를 窮究함으로써 지식을 이루어 가는 것’으로 해석했다.
   明나라 때 王陽明은 朱子의 가르침대로 정원의 대나무를 며칠 밤낮을 두고 응시하면서 대{竹}의 이치를 케고자 하다가 7일만에 졸도하고 말았다.   그래서 그는 朱子學에 의문을 품었다.  대나무 한 그루의 이치도 풀지 못하는데 사물의 모든 이치를 터득할 수 있을까?  차라리 마음을 닦아 실제 행동으로 옮겨야 하지 않을까?  그래서 그는 格物致知를 ‘마음을 바르게 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朱子學과 陽明學의 탄생인 것이다.  格物致知의 정확한 해석을 구하는 것은 무의미한 일일지도 모른다.  그저 ‘인격을 수양해 君子 또는 聖人이 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라고 하면 어떨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4 단골집 셀라비 2015.03.30 1972
363 標 榜 이규 2013.08.10 1969
362 沐浴 [1] 이규 2013.04.08 1968
361 席 捲 이규 2013.05.31 1966
360 道 路 이규 2013.08.17 1964
359 大公無私 이규 2013.10.16 1962
358 大器晩成 이규 2013.10.22 1961
357 奇貨可居 이규 2013.04.29 1961
356 孤立無援 셀라비 2015.04.12 1960
355 知 音 셀라비 2014.03.24 1958
354 竹馬故友 셀라비 2014.10.17 1955
353 國會 이규 2012.11.07 1954
352 櫛 比 이규 2013.08.08 1952
351 奇蹟 이규 2012.12.06 1951
350 雲 集 이규 2013.08.09 1948
349 猪 突 이규 2013.11.27 1942
348 花 信 셀라비 2013.08.02 1942
347 五十笑百 이규 2013.09.11 1939
346 入吾彀中 이규 2013.10.14 1937
345 杯中蛇影 이규 2013.04.09 19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