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61
어제:
324
전체:
768,285

格物致知

2013.04.04 06:39

이규 조회 수:1660

格바를격
物만물물
致이를치
知알지


 군자가 되기 위한 인격수양 방법


  宋나라는 人倫과 忠節을 바로 세우는 것이 급선무였다.  그래서 四書(大學, 中庸, 論語, 孟子)를 만들어 君子의 필독서로 삼았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다.  [大學]에 보면 君子가 되기 위한 八條目(格物, 致知, 誠意, 正心, 修身, 齊家, 治國, 平天下)이 나오는데 이중 가장 중요한 格物과 致知는 옛날부터 해석이 빠져 있었기 때문이다.
  맨 처음 그 해법을 제시한 이는 朱子였다.  ‘만물은 모두 理致를 가지고 있는 바, 그 이치를 하나 하나 케들어 가면 활연(豁然)히 만물의 이치를 깨달을 수 있다’고 하면서 格物致知를 ‘사물의 이치를 窮究함으로써 지식을 이루어 가는 것’으로 해석했다.
   明나라 때 王陽明은 朱子의 가르침대로 정원의 대나무를 며칠 밤낮을 두고 응시하면서 대{竹}의 이치를 케고자 하다가 7일만에 졸도하고 말았다.   그래서 그는 朱子學에 의문을 품었다.  대나무 한 그루의 이치도 풀지 못하는데 사물의 모든 이치를 터득할 수 있을까?  차라리 마음을 닦아 실제 행동으로 옮겨야 하지 않을까?  그래서 그는 格物致知를 ‘마음을 바르게 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朱子學과 陽明學의 탄생인 것이다.  格物致知의 정확한 해석을 구하는 것은 무의미한 일일지도 모른다.  그저 ‘인격을 수양해 君子 또는 聖人이 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라고 하면 어떨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4 輻輳 이규 2013.01.02 1176
423 恒産恒心 이규 2013.01.02 1201
422 蠶室 이규 2013.01.05 1202
421 燈火可親 이규 2013.01.07 1166
420 葡萄 이규 2013.01.09 1227
419 崩壞 이규 2013.01.13 1205
418 阿鼻叫喚 [2] 이규 2013.01.14 1141
417 籠絡 이규 2013.01.15 1144
416 伯仲勢 이규 2013.01.16 1179
415 左遷 이규 2013.01.17 1192
414 出師表 이규 2013.01.18 1206
413 吳越同舟 이규 2013.01.19 1217
412 一瀉千里 이규 2013.01.20 1136
411 鳩首會議 이규 2013.01.21 1279
410 變姓名 이규 2013.01.22 1222
409 納凉 이규 2013.01.23 1172
408 汚染 이규 2013.01.24 1271
407 香肉 이규 2013.01.25 1140
406 波紋 이규 2013.01.27 1412
405 赦免 [1] 이규 2013.01.27 1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