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116
어제:
1,101
전체:
763,619

野合而生

2013.04.02 21:35

이규 조회 수:1442

野들야
合합할합
而말이을이
生날생


 좋지 않은 목적을 위해 서로 힘을 합침


  우리가 흔히 쓰는 ‘野合’이란 말은 원래 ‘野合而生’의 줄인 말이다.
  孔子는 짧았던 삶에도 불구하고 2500여년에 걸쳐 인류에게 엄청난 영향을 끼쳤다.  孔子는 중국 문화의 출발이었고 主流였다.  漢 때는 神格化된 적도 있었다.  그 뒤 司馬遷이 [史記]에 孔子의 生涯를 기록하며, 孔子의 위대성은 聖人이 아니라 보통 사람이라는 점에서 그의 위대성을 부각시켰다.
  孔子의 이름은 丘였다.  孔子의 어머니가 니구산(尼丘山)에 빌어 孔子를 가졌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孔子의 집안은 몰락한 귀족이었고, 아버지 숙량흘은 하급무사였다.  孔子의 출생에 대해서는 많은 이야기가 있다.  孔子에게는 열명의 많은 누나들과 몸이 성치 못한 형이 있었다.  孔子가 成人이 되었을 때 또 다릉 이름이 仲尼인데, 仲은 둘째라는 뜻이며, 尼는 尼丘山에서 따온 것이었다.  孔子의 아버지는 튼튼한 자식을 갖고 싶어 나이 70이 넘어 안징재라는 나어린 소녀를 취하여 孔子를 얻었다.  그래서 司馬遷은 孔子의 出生에 대해 野合해서 낳았다고 했다{野合而生}.  野合이란 말 그대로 들에서 합쳐 태어났다는 뜻이다.
  오늘날도 野合은 몰래 만난다는 의미와 아울러 좋지 못하다는 뜻이 들어있다.  司馬遷이 野合이라고 한 것도 정상적 관계가 아니었음을 말하는 것이다.  그래서 孔子는 사생아 였다는 소리를 듣기도 한다.  유학자들은 차마 孔子를 私生兒라고 할 수 없어서 온갖 주장을 통해 미화하려 했다.  그러나 그가 사생아였다고 해서 孔子의 위대성이 줄리 없다.  오히려 그런 어려움을 딛고 일어선 점에서 위대성이 더 돋보인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4 露 骨 이규 2013.05.29 1250
163 淘 汰 이규 2013.05.28 1604
162 鷄鳴拘盜 이규 2013.05.27 1632
161 百年河淸 이규 2013.05.26 1410
160 亡牛補牢 이규 2013.05.24 1363
159 西 方 이규 2013.05.23 1525
158 骨肉相爭 이규 2013.05.22 1272
157 他山之石 이규 2013.05.21 1476
156 分 野 이규 2013.05.20 1332
155 干 支 이규 2013.05.19 1338
154 白髮三千丈 이규 2013.05.17 1496
153 刮目相對 이규 2013.05.16 1386
152 喪家之狗 이규 2013.05.15 1395
151 關 鍵 이규 2013.05.14 1558
150 尾生之信 이규 2013.05.13 1951
149 匹夫之勇 이규 2013.05.11 1459
148 水落石出 이규 2013.05.10 1728
147 指鹿爲馬 이규 2013.05.09 1271
146 輾轉反側 이규 2013.05.08 1203
145 應接不暇 이규 2013.05.08 1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