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33
어제:
324
전체:
768,257

騎虎之勢

2013.04.01 21:47

이규 조회 수:1698

騎 탈 기
虎 범 호
之 갈 지
勢 권세 세

 

기세를 유지해 박력있게 일을 추진함


  進退兩難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경우다.  사실 일을 벌여 놓고 보면 도중에 그만 두려고 해도 그만 둘 수 없을 때가 있다.  그럴 때는 주저하지 말고 그 氣勢를 그대로 유지해 迫力있게 推進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그것을 뜻하는 말이 騎虎之勢이다.  ‘호랑이를 탄 形勢’라는 뜻이다.  호랑이를 잡으러 산에 올라 갔다가 갑자기 호랑이가 나타나자 그만 엉겁결에 호랑이 등에 올라탔다.  등에서 내리면 물려 죽고 만다.  이럴 때는 그대로 계속 타고 있을 수 밖에 없다.
  魏晋南北朝 360년의 분열을 통일한 이는 양견(楊堅)이다.  그는 본디 北朝의 北周 선제(宣帝)의 丈人이었다.  宣帝가 죽고 아들 정제(靜帝)가 섰지만 나이가 워낙 어려 그는 손쉽게 帝位를 찬탈(簒奪), 나라를 세우고 국호를 隋라 하였으며, 자신은 文帝라 하였다.  그의 皇后 독고(獨孤)씨는 女傑로 일찍이 남편의 野心을 잘 알고 있었다.
  宣帝가 죽자 楊堅은 드디어 天下를 簒奪하겠다는 생각을 품게 된다.  물론 반대하는 세력도 만만치 않았다.  하루는 楊堅이 擧事를 劃策하기 위해 宮中에 들어가 있는데 獨孤씨가 몰래 사람을 보내 密書를 전해 왔다.
  “범을 탄 이상 도중에 내려서는 위험합니다.  범과 함께 최후까지 달려야 합니다.  이미 큰일을 저지른 이상 후회말고 밀어 붙여 목적을 달성토록 하소서.”
  楊堅은 아내의 말에 크게 鼓舞되어 그 길로 靜帝를 脅迫, 天下를 차지할 수 있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4 採薇歌 셀라비 2014.09.14 1929
403 鐵面皮 셀라비 2014.09.12 1558
402 靑出於藍 셀라비 2014.09.01 1950
401 疑心暗鬼 셀라비 2014.08.31 2077
400 枕流漱石 셀라비 2014.08.30 1510
399 要領不得 셀라비 2014.08.28 1571
398 壽則多辱 셀라비 2014.08.21 1634
397 玉石混淆 셀라비 2014.08.20 1927
396 矛 盾 셀라비 2014.08.19 1593
395 麥秀之嘆 셀라비 2014.08.17 1952
394 泰山北斗 셀라비 2014.08.16 1860
393 亡國之音 셀라비 2014.08.15 1504
392 偕老同穴 이규 2014.08.12 1580
391 螢雪之功 셀라비 2014.07.23 1826
390 華胥之夢 셀라비 2014.07.22 1740
389 輓 歌 셀라비 2014.07.15 1945
388 得壟望蜀 셀라비 2014.07.14 1816
387 杜 撰 셀라비 2014.07.10 1726
386 獨眼龍 셀라비 2014.07.05 1749
385 投 抒 셀라비 2014.07.03 1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