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690
어제:
783
전체:
770,050

騎虎之勢

2013.04.01 21:47

이규 조회 수:1727

騎 탈 기
虎 범 호
之 갈 지
勢 권세 세

 

기세를 유지해 박력있게 일을 추진함


  進退兩難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경우다.  사실 일을 벌여 놓고 보면 도중에 그만 두려고 해도 그만 둘 수 없을 때가 있다.  그럴 때는 주저하지 말고 그 氣勢를 그대로 유지해 迫力있게 推進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그것을 뜻하는 말이 騎虎之勢이다.  ‘호랑이를 탄 形勢’라는 뜻이다.  호랑이를 잡으러 산에 올라 갔다가 갑자기 호랑이가 나타나자 그만 엉겁결에 호랑이 등에 올라탔다.  등에서 내리면 물려 죽고 만다.  이럴 때는 그대로 계속 타고 있을 수 밖에 없다.
  魏晋南北朝 360년의 분열을 통일한 이는 양견(楊堅)이다.  그는 본디 北朝의 北周 선제(宣帝)의 丈人이었다.  宣帝가 죽고 아들 정제(靜帝)가 섰지만 나이가 워낙 어려 그는 손쉽게 帝位를 찬탈(簒奪), 나라를 세우고 국호를 隋라 하였으며, 자신은 文帝라 하였다.  그의 皇后 독고(獨孤)씨는 女傑로 일찍이 남편의 野心을 잘 알고 있었다.
  宣帝가 죽자 楊堅은 드디어 天下를 簒奪하겠다는 생각을 품게 된다.  물론 반대하는 세력도 만만치 않았다.  하루는 楊堅이 擧事를 劃策하기 위해 宮中에 들어가 있는데 獨孤씨가 몰래 사람을 보내 密書를 전해 왔다.
  “범을 탄 이상 도중에 내려서는 위험합니다.  범과 함께 최후까지 달려야 합니다.  이미 큰일을 저지른 이상 후회말고 밀어 붙여 목적을 달성토록 하소서.”
  楊堅은 아내의 말에 크게 鼓舞되어 그 길로 靜帝를 脅迫, 天下를 차지할 수 있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 討 伐 이규 2013.03.17 1587
103 安貧樂道 이규 2013.03.25 1584
102 謁聖及第 이규 2013.03.12 1584
101 鐵面皮 셀라비 2014.09.12 1580
100 跛行 이규 2013.03.18 1580
99 高枕而臥 이규 2012.11.30 1579
98 民心 이규 2012.12.09 1578
97 省墓 이규 2012.11.01 1578
96 三十六計 셀라비 2014.10.30 1574
95 似而非 이규 2013.03.21 1571
94 颱 風 이규 2013.07.12 1570
93 景福 셀라비 2012.10.31 1569
92 他山之石 이규 2013.05.21 1563
91 月下老人 이규 2013.03.28 1562
90 兩立 이규 2012.12.13 1560
89 道不拾遺 이규 2013.02.27 1559
88 沐猴而冠 셀라비 2013.03.26 1558
87 妥結 이규 2012.12.02 1554
86 囊中之錐 이규 2012.11.26 1552
85 封套 이규 2012.11.19 15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