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08
어제:
823
전체:
771,167

沐猴而冠

2013.03.26 19:57

셀라비 조회 수:1591


沐목욕목
猴원숭이후
而어조사이
冠갓관

 갓쓴 원숭이 … 사람 행세를 못함


  홍문연(鴻門宴)을 통해 劉邦으로부터 秦의 도읍 咸陽(일명 關中)을 손에 넣은 項羽는 殺人, 掠奪, 放火를 자행해 민심으로 부터 멀어지고 있었다.  이 점은 劉邦이 豫見한 터였다.  項羽는 스스로 荒廢하게 한 咸陽이 마음에 들지 않아 팽성(彭城)으로의 遷都를 결심했다.
  咸陽이라면 천혜의 요새로 覇業의 땅이었다.  간의대부(諫議大夫) 韓生이 수차례 간했지만 項羽는 화를 내면서 그를 멀리했다.  韓生은 歎息하고 물러 나면서 혼자말로 중얼거렸다.  “원숭이를 목욕시켜 관을 씌운 꼴이군{沐후而冠}.”  그런데 이말을 項羽가 듣고 말았다.  무식했던 그는 무슨 뜻인줄 몰라 陳平에게 물었다.
  “폐하를 흉보는 말인데 세가지 뜻이 있지요.  원숭이는 관을 써도 사람이 못된다는 것, 원숭이는 꾸준하지 못해 관을 쓰고 조바심을 낸다는 것, 그리고 원숭이는 사람이 아니므로 만지작거리다 의관을 찢어버리고 만다는 뜻입니다.”  激憤한 項羽는 그를 끓는 기름가마에 던져 삶아 죽이고 말았다.
  죽을 때 韓生이 말했다.  “두고 보아라.  劉邦이 너를 멸하리라.  역시 楚나라 사람들은 원숭이와 같아 관을 씌워도 소용이 없지.”  결국 項羽는 咸陽 뿐만 아니라 天下를 몽땅 劉邦에게 빼앗기고 말았다.  耳目口鼻를 갖추었다고 다 사람 행세를 하는 것은 아니다.  沐후而冠과 같은 상람이 얼마나 많은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 道不拾遺 이규 2013.02.27 1583
103 盲人摸象 이규 2013.02.25 1668
102 高枕無憂 이규 2013.02.22 1655
101 破釜沈舟 이규 2013.02.21 1462
100 膺懲 이규 2013.02.18 1735
99 杜鵑花 이규 2013.02.13 1908
98 瓦斯 이규 2013.02.12 1659
97 獅子喉 이규 2013.02.12 1744
96 名分 이규 2013.02.11 1639
95 風塵 이규 2013.02.06 1875
94 寸志 이규 2013.02.06 1464
93 師表 이규 2013.02.04 1747
92 秋霜 이규 2013.02.04 1678
91 長蛇陣 이규 2013.02.03 1676
90 秋毫 이규 2013.02.03 1499
89 菽麥 이규 2013.02.02 1641
88 園頭幕 이규 2013.02.02 1483
87 洪水 이규 2013.02.02 1514
86 刑罰 이규 2013.02.01 1661
85 所聞 이규 2013.02.01 16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