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45
어제:
257
전체:
762,447

杜鵑

2013.03.20 22:00

이규 조회 수:2009


杜막을두
鵑두견새견


 죽은 望帝의 恨을 상징
 

 

  杜鵑은 一名 「자규(子規)」,「접동새」라고도 한다. 구성진 울음 소리는 恨 많은 우리네 民族情緖와도 잘 맞아 文學에 자주 登場한다. 정서(鄭敍)는「내님을 그리사와 우니다니 산접동새는 이슷하요이다」(『鄭瓜亭曲』)라고 했으며,이조년(李兆年)은 「일지춘심(一枝春心)을 자규야 아랴마는 多情도 병인양 하여 잠못드러 하노라」고 노래했다.
   杜鵑이 恨을 象徵하는 데에는 來歷이 있다. 옛 中國의 촉(蜀,현 四川省)에 두우(杜宇)라는 천신(天神)이 있었다. 너무도 人間을 사랑하여 하계(下界)에 내려와 農事짓는 法을 가르쳤다. 後에 百姓의 信望을 한 몸에 받고 蜀의 王이 되어 망제(望帝) 라 불렸다. 그러나 그에게는 홍수(洪水)라는 커다란 고민거리가 하나 있었다. 窮理 끝에 별령(鼈靈,자라의 神)을 宰相에 앉히고 洪水를 다스리도록 했다. 과연 鼈靈은 神通力을 發揮해 洪水를 다스렸고 望帝는 王位를 물려 주고 西山에 隱居했다.그러나 王이 된 鼈靈은 그만 杜宇의 아내를 차지하고 말았다. 이 事實을 알게 된 杜宇는 하루종일 울기만 했다. 마침내 지쳐 죽게 되었는데, 그 때杜鵑새에게 말했다.
   『두견새야! 내 대신 울어서 나의 心情을 사람들에게 전해다오.』 望帝의遺言을 들은 杜鵑은 즉시 蜀으로 날아가 밤낮을 가리지 않고 피를 토하면서 울어댔다. 어찌나 구성지게 울었던지 蜀의 百姓들은 두견새 소리만 들으면 죽은 望帝를 그리워 하며 더욱 슬픔을 느꼈다고 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4 窺豹一斑 이규 2013.04.14 1560
163 錦衣夜行 셀라비 2014.06.02 1558
162 官 吏 셀라비 2014.03.23 1558
161 師表 이규 2013.02.04 1558
160 烏有先生 이규 2013.06.26 1557
159 淘 汰 이규 2013.05.28 1556
158 獅子喉 이규 2013.02.12 1556
157 聖域 이규 2012.11.16 1555
156 世代 이규 2012.11.13 1553
155 家書萬金 셀라비 2014.11.17 1551
154 焦眉 이규 2012.12.05 1546
153 雲 雨 셀라비 2013.11.02 1537
152 行 脚 이규 2013.06.19 1535
151 格物致知 이규 2013.04.04 1535
150 管轄 이규 2012.12.20 1534
149 蜂 起 이규 2013.06.05 1533
148 正 鵠 이규 2013.06.02 1529
147 城郭 이규 2012.11.06 1527
146 關 鍵 이규 2013.05.14 1523
145 伯樂一顧 이규 2013.04.07 1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