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689
어제:
776
전체:
770,825

跛行

2013.03.18 19:34

이규 조회 수:1594


跛깨뜨릴파
行움직일행


 跛行-볼썽사납게 걷는 모습

 

  跛는 足(발 족)과 波(물결 파)가 結合한 다음 省略된 模襲이다. 발이 물결치듯  걷는 模襲에서 나온 글자로 「절름발이」를  뜻한다. 또 行은 잘 뚫린 네거리의 模襲에서 나온 글자로 「걷다 」는 뜻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跛行이라면 「절름발이의 걸음」이 되겠다.
   요즘은 醫術이 發達해 소아마비(小兒痲痺)患者가 극히 드문 代身 交通事故나 기타  原因으로 인한 다리 障碍人이 많다. 그런데 옛날에도 後天的인,그것도 事故가 아닌  다리 障碍人이 있었다면 疑訝해 할 것이다. 古代 中國에는 五刑이라는 極刑이 있었다.경(勍,이마에 먹치기)․의(의,코를 벰)․궁(宮,남자의 去勢)․대벽(대벽,斬首),그리고 월(월,발꿈 치를  자름) 이 그것이다.
  월형(월刑)을 일명 올형(兀刑)이라고도 하는데 『장자(莊子)』의 「덕충부(德充符)」에 보이는 왕태(王태)나 신도가(申徒嘉)는 그 대표적 人物이다. 또 화씨벽(和氏璧)을  발견한  楚나라 사람 변화(卞和)역시 바윗덩어리를 바쳤다는 罪目으로  억울하게 발꿈치를 잘린 경우다. 어떤 境遇든 절룩거리면서 걷는 模襲은 그다지 보기  좋지 않다.
  그런데 지금 國會가 跛行을 演出하고 있다 하여  嚬蹙(빈축)을 사고 있다. 기껏  뽑아줬더니 開院初부터 跛行이란 말인가. 選良이 아니라 選惡이라도 한 것같은 느낌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4 登龍門 lkplk@hitel.net 2014.01.22 1809
323 狼 藉 셀라비 2014.01.21 1763
322 千里眼 셀라비 2014.01.20 1906
321 從容有常 셀라비 2014.01.17 1929
320 千里馬 셀라비 2014.01.15 2754
319 換骨奪胎 셀라비 2014.01.13 1765
318 茶 禮 셀라비 2014.01.09 1806
317 連理枝 LeeKyoo 2014.01.06 1883
316 庭 訓 이규 2014.01.03 1852
315 逐 鹿 셀라비 2013.12.25 1869
314 蝴蝶夢 셀라비 2013.12.24 1949
313 解語花 셀라비 2013.12.23 1876
312 關 係 LeeKyoo 2013.12.22 1833
311 拍 車 셀라비 2013.12.19 1998
310 尋 常 셀라비 2013.12.18 1909
309 餓 鬼 셀라비 2013.12.17 1848
308 咫 尺 LeeKyoo 2013.12.15 1908
307 鍛 鍊 셀라비 2013.12.12 1862
306 鼎 革 이규 2013.12.09 1872
305 獨 對 이규 2013.12.08 19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