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57
어제:
783
전체:
770,117

跛行

2013.03.18 19:34

이규 조회 수:1592


跛깨뜨릴파
行움직일행


 跛行-볼썽사납게 걷는 모습

 

  跛는 足(발 족)과 波(물결 파)가 結合한 다음 省略된 模襲이다. 발이 물결치듯  걷는 模襲에서 나온 글자로 「절름발이」를  뜻한다. 또 行은 잘 뚫린 네거리의 模襲에서 나온 글자로 「걷다 」는 뜻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跛行이라면 「절름발이의 걸음」이 되겠다.
   요즘은 醫術이 發達해 소아마비(小兒痲痺)患者가 극히 드문 代身 交通事故나 기타  原因으로 인한 다리 障碍人이 많다. 그런데 옛날에도 後天的인,그것도 事故가 아닌  다리 障碍人이 있었다면 疑訝해 할 것이다. 古代 中國에는 五刑이라는 極刑이 있었다.경(勍,이마에 먹치기)․의(의,코를 벰)․궁(宮,남자의 去勢)․대벽(대벽,斬首),그리고 월(월,발꿈 치를  자름) 이 그것이다.
  월형(월刑)을 일명 올형(兀刑)이라고도 하는데 『장자(莊子)』의 「덕충부(德充符)」에 보이는 왕태(王태)나 신도가(申徒嘉)는 그 대표적 人物이다. 또 화씨벽(和氏璧)을  발견한  楚나라 사람 변화(卞和)역시 바윗덩어리를 바쳤다는 罪目으로  억울하게 발꿈치를 잘린 경우다. 어떤 境遇든 절룩거리면서 걷는 模襲은 그다지 보기  좋지 않다.
  그런데 지금 國會가 跛行을 演出하고 있다 하여  嚬蹙(빈축)을 사고 있다. 기껏  뽑아줬더니 開院初부터 跛行이란 말인가. 選良이 아니라 選惡이라도 한 것같은 느낌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4 水魚之交 이규 2013.04.25 1545
403 應接不暇 이규 2013.05.08 1548
402 割據 셀라비 2012.11.09 1550
401 囊中之錐 이규 2012.11.26 1553
400 患難相恤 이규 2013.03.02 1554
399 妥結 이규 2012.12.02 1564
398 封套 이규 2012.11.19 1565
397 沐猴而冠 셀라비 2013.03.26 1565
396 他山之石 이규 2013.05.21 1565
395 兩立 이규 2012.12.13 1567
394 道不拾遺 이규 2013.02.27 1567
393 月下老人 이규 2013.03.28 1567
392 似而非 이규 2013.03.21 1576
391 颱 風 이규 2013.07.12 1580
390 省墓 이규 2012.11.01 1581
389 高枕而臥 이규 2012.11.30 1582
388 三十六計 셀라비 2014.10.30 1582
387 景福 셀라비 2012.10.31 1586
386 民心 이규 2012.12.09 1587
385 鐵面皮 셀라비 2014.09.12 15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