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147
어제:
1,101
전체:
763,650

討 伐

2013.03.17 15:40

이규 조회 수:1505


討 칠토
伐 칠벌


 군대로 나쁜 무리를 침

 


  言語, 命令, 法律, 墳墓 등 비슷한 글자로 이루어진 單語들이 있다.  差異는 있지만 區別하지 않아도 無妨한 글자들이다.  그러나 大義名分이 걸려 있다면 嚴格하게 區別해야 한다.  一例로 같은 ‘죽음’을 뜻하는 漢字라도 天子가 죽으면 ‘崩’, 諸侯가 죽으면 훙(薨), 高官은 卒, 平民은 死가 된다.  물론 逆賊은 폐(斃)다.  일종의 개죽음이다.  諸葛亮이 [出師表]에서 劉備의 죽음을 두고 ‘崩조(붕조)’라고 表現한 것이 좋은 例다.
  宋의 歐陽修(1007~1072)는 大文章家이자 歷史家였다.  中國의 正史인 二十五史중 무려 두 권(新唐書, 新五代史)이 그의 손으로 쓰여졌다.  그가 歷史를 記述하면서 특히 重視했던 것은 大義名分였다.  그래서 글자 하나하나를 選擇하는데도 愼重에 愼重을 더했다.  예를 들어 戰爭의 境遇 攻은 雙方間의 戰鬪를 意味하고, 伐은 大國이 小國을 친 경우를 뜻한다.  또 討는 罪를 追窮하기 위해 相對方을 친 境遇, 征은 天子가 친히 戰爭에 參加한 境遇 등으로 區分했다.
  곧 討伐 두 자는 모두 ‘戰爭’을 뜻한다는 점에서는 共通이지만 微妙한 差異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번 武裝共匪에 대한 作戰을 두고 우리는 討伐로 表現하고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4 破 綻 셀라비 2014.02.28 1840
323 效 嚬 셀라비 2013.10.24 1837
322 破 格 이규 2013.10.07 1836
321 玉石混淆 셀라비 2014.08.20 1834
320 問 津 이규 2013.10.25 1834
319 부랴부랴 이규 2015.04.13 1833
318 彌縫策 셀라비 2014.09.23 1831
317 採薇歌 셀라비 2014.09.14 1830
316 回 甲 셀라비 2014.06.19 1830
315 一場春夢 이규 2013.10.15 1828
314 刎頸之交 이규 2013.04.19 1828
313 寒心 이규 2012.11.10 1828
312 개차반 셀라비 2015.03.27 1827
311 動 亂 이규 2013.09.16 1827
310 獨 對 이규 2013.12.08 1826
309 會 計 이규 2013.08.05 1826
308 黃 砂 이규 2013.07.18 1825
307 蝴蝶夢 셀라비 2013.12.24 1824
306 遠交近攻 이규 2013.07.04 1824
305 馬耳東風 셀라비 2014.06.22 1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