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627
어제:
257
전체:
762,029

謁聖及第

2013.03.12 19:35

이규 조회 수:1466


謁뵈올알
聖성인성
及미칠급
第차례제

 

 임금을 모신 과거에서 합격함

 

  謁은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뵙는 것(謁見․拜謁)이며, 聖은 ‘聖人’을 뜻하므로 謁聖의 본뜻은 ‘聖人을 뵙는 것’이다.  물론 及第는 科擧에 合格한 것이다.
  朝鮮時代 科擧의 하나에 謁聖試(謁聖科)라는 것이 있었다.  임금이 科場(考査場)에 親臨했던 試驗인데, 그전에 成均館의 文廟에서 孔子의 神位를 參拜(謁聖)했다 해서 붙은 이름이다.  親臨科라고도 하며 中國에서는 殿試라고 불렀다.  朝鮮初 太宗 때부터 實施했다고 하는데 成均館의 明倫堂에서 儒生들을 對象으로 試驗을 치러 當日 及第者를 發表했다.  이 때문에 應試者들은 實力을 發揮할 時間的 餘裕가 없을뿐더러 評價 또한 細密히 할 수 없었다.  또 親臨科였던 만큼 相避(應試者의 親姻戚은 試驗官이 될 수 없도록 한 制度)가 없었기 때문에 雜音도 많았다고 한다.
  이래 저래 謁聖試는 運이 作用하는 境遇가 많아 요행(僥倖)을 바라는 應試生이 몰려들어 肅宗 20年(1694年)의 境遇 1만여명, 英祖 15年(1739年)에는 무려 1만8천여명이나 應試했다고 한다.  그 謁聖試에서 及第하는 것이 謁聖及第다.
  어쨌든 큰 榮光이었다.  옛 大衆歌謠에 ‘謁聖及第’라는 表現이 나온다.  ‘알상급제’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는데 옳은 表現이 아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4 刑罰 이규 2013.02.01 1507
143 正 鵠 이규 2013.06.02 1504
142 秋霜 이규 2013.02.04 1503
141 甘呑苦吐 셀라비 2014.11.26 1497
140 有備無患 이규 2012.11.12 1496
139 守株待兎 이규 2013.03.29 1495
138 慢慢的 이규 2012.11.15 1494
137 居安思危 이규 2013.03.26 1493
136 墨翟之守 셀라비 2014.10.25 1490
135 瓦斯 이규 2013.02.12 1489
134 亢龍有悔 이규 2013.04.22 1487
133 窮鼠齧猫 이규 2013.07.17 1486
132 盲人摸象 이규 2013.02.25 1486
131 菽麥 이규 2013.02.02 1485
130 所聞 이규 2013.02.01 1485
129 簞食瓢飮 이규 2013.04.17 1481
128 擧足輕重 이규 2013.03.01 1481
127 名分 이규 2013.02.11 1479
126 觀 察 셀라비 2014.03.28 1476
125 西 方 이규 2013.05.23 14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