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08
어제:
1,101
전체:
763,511

한자 弔 問

2014.04.16 20:18

셀라비 조회 수:1661

弔 問

초상

물을

 

 

喪事를 찿아가 유족의 슬픔을 위로함

 

 

弔問이라면 喪事를 당한 遺族을 찾아 슬픔을 慰勞하고 故人冥福을 비는 行爲를 말한다. 西洋莫論하고 美德에 속한다. 「ㅣ」合成字. 여기서 「ㅣ」은 사람을 뜻한다. 즉 사람이 활을 들고 서있는 模襲. 아주 옛날 사람이 죽으면 屍身을 풀이나 거적에 싸서 들판에다가 버렸다. 그러면 까마귀나 들짐승의 밥이 되기 쉽다. 그래서 遺族들이 짐승을 쫓기 위해 활을 들고 며칠씩 屍身을 지켰는데 는 여기서 유래한 글자다.

은 물론 慰問의 뜻이다. 遺族의 슬픔이 오죽하겠는가. 그런데 지금 弔問이라면 故人遺族들을 함께 慰勞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옛날에는區別했다. 平素 故人과 가까웠던 사람이라면 그 역시 슬픔을 堪當하기 쉽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哀悼의 뜻을 표했는데, 그것을 이라고 했다.

反面 故人과는 直接的親分이 없지만 遺族과는 가까운 境遇가 있다. 이럴 때는 遺族의 슬픔을 慰勞했는데 그것이 . 물론 말로 慰勞했으므로 ()이라고도 했다. 따라서 嚴格히 말하면 哀悼故人에게弔問遺家族에게 마음을 표하는 것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4 破 格 이규 2013.10.07 1824
323 妄 言 이규 2013.09.20 1822
322 寒心 이규 2012.11.10 1820
321 부랴부랴 이규 2015.04.13 1819
320 問 津 이규 2013.10.25 1817
319 刎頸之交 이규 2013.04.19 1817
318 採薇歌 셀라비 2014.09.14 1816
317 玉石混淆 셀라비 2014.08.20 1816
316 效 嚬 셀라비 2013.10.24 1815
315 回 甲 셀라비 2014.06.19 1814
314 會 計 이규 2013.08.05 1813
313 彌縫策 셀라비 2014.09.23 1811
312 獨 對 이규 2013.12.08 1810
311 개차반 셀라비 2015.03.27 1809
310 蝴蝶夢 셀라비 2013.12.24 1808
309 遠交近攻 이규 2013.07.04 1808
308 一場春夢 이규 2013.10.15 1807
307 動 亂 이규 2013.09.16 1807
306 董狐之筆 이규 2013.07.05 1807
305 馬耳東風 셀라비 2014.06.22 1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