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24
어제:
257
전체:
761,626

한자 弔 問

2014.04.16 20:18

셀라비 조회 수:1602

弔 問

초상

물을

 

 

喪事를 찿아가 유족의 슬픔을 위로함

 

 

弔問이라면 喪事를 당한 遺族을 찾아 슬픔을 慰勞하고 故人冥福을 비는 行爲를 말한다. 西洋莫論하고 美德에 속한다. 「ㅣ」合成字. 여기서 「ㅣ」은 사람을 뜻한다. 즉 사람이 활을 들고 서있는 模襲. 아주 옛날 사람이 죽으면 屍身을 풀이나 거적에 싸서 들판에다가 버렸다. 그러면 까마귀나 들짐승의 밥이 되기 쉽다. 그래서 遺族들이 짐승을 쫓기 위해 활을 들고 며칠씩 屍身을 지켰는데 는 여기서 유래한 글자다.

은 물론 慰問의 뜻이다. 遺族의 슬픔이 오죽하겠는가. 그런데 지금 弔問이라면 故人遺族들을 함께 慰勞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옛날에는區別했다. 平素 故人과 가까웠던 사람이라면 그 역시 슬픔을 堪當하기 쉽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哀悼의 뜻을 표했는데, 그것을 이라고 했다.

反面 故人과는 直接的親分이 없지만 遺族과는 가까운 境遇가 있다. 이럴 때는 遺族의 슬픔을 慰勞했는데 그것이 . 물론 말로 慰勞했으므로 ()이라고도 했다. 따라서 嚴格히 말하면 哀悼故人에게弔問遺家族에게 마음을 표하는 것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4 端午 이규 2012.11.18 1083
463 封套 이규 2012.11.19 1424
462 一字千金 이규 2012.11.20 1070
461 以卵投石 이규 2012.11.21 1054
460 野壇法席 이규 2012.11.22 1109
459 蝸角之爭 이규 2012.11.23 1130
458 Ⅰ. 한자어의 이해 이규 2012.11.23 1646
457 破廉恥 이규 2012.11.24 1566
456 한자어의 짜임 - 병렬관계 이규 2012.11.24 2267
455 한자어의 짜임 - 수식 관계 이규 2012.11.25 1902
454 戰戰兢兢 이규 2012.11.25 1080
453 囊中之錐 이규 2012.11.26 1417
452 한자어의 짜임 - 주술 관계 이규 2012.11.26 2100
451 明鏡止水 이규 2012.11.27 1269
450 千慮一得 이규 2012.11.28 1209
449 高枕而臥 이규 2012.11.30 1448
448 燕雀鴻鵠 이규 2012.12.01 1307
447 妥結 이규 2012.12.02 1422
446 文化 이규 2012.12.03 1568
445 한자어의 짜임 - 술목, 술보관계 이규 2012.12.03 37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