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84
어제:
1,101
전체:
763,587

한자 座右銘

2014.04.09 19:37

셀라비 조회 수:1668

座右銘

자리

오른

새길

 

반성의 자료로 삼는 격언이나 경구

 

座右銘이란 자리 오른쪽에 붙여 놓고 反省資料로 삼는 格言이나 警句를말한다. 그러나 原來文章이 아니라 술독을 사용했다고 한다. 나라는 春秋五覇의 하나였던 桓公(환공)이 죽자 廟堂(묘당)을 세우고 各種 祭器陳列해놓았는데 그중 하나가 이상한 술독이었다. 텅 비어있을 때는 기울어져 있다가도 술을 반쯤 담으면 바로 섰다가 가득 채우면 다시 엎어지는 술독이었다. 하루는 孔子弟子들과 함께 그 廟堂을 찾았는데 博識했던 孔子도 그 술독만은 알아볼 수 없었다. 擔當 官吏에게 듣고 나서 그는 무릎을 쳤다.

저것이 그 옛날 齊桓公椅子 오른쪽에 두고 가득 차는 것을 警戒했던 바로 그 술독이로구나!』 그는 弟子들에게 물을 길어와 그 술독을 채워보도록 했다. 과연 비스듬히 세워져 있던 술독이 물이 차오름에 따라 바로 서더니만 나중에는 다시 쓰러지는 것이 아닌가. 孔子가 말했다.

공부도 이와 같은 것이다. 다 배웠다고(가득 찼다고) 교만(驕慢)을 부리는 는 반드시 를 당하게 되는 이니라. 집에 돌아온 그는 똑같은 술독을 만들어 椅子 오른쪽에 두고는 스스로를 가다듬었다고 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4 幣 帛 이규 2013.10.13 1882
343 猪 突 이규 2013.11.27 1882
342 歸 順 이규 2013.07.23 1881
341 淸 貧 yikyoo 2014.06.15 1881
340 大議滅親 이규 2013.09.09 1878
339 壓 卷 이규 2013.11.18 1868
338 骨董品 셀라비 2014.03.01 1867
337 中 國 이규 2013.09.03 1866
336 選 良 이규 2013.08.07 1864
335 麥秀之嘆 셀라비 2014.08.17 1864
334 春困症 이규 2013.07.27 1860
333 輓 歌 셀라비 2014.07.15 1855
332 瓦 解 이규 2013.08.18 1853
331 拍 車 셀라비 2013.12.19 1853
330 靑出於藍 셀라비 2014.09.01 1852
329 家 庭 이규 2013.07.25 1851
328 老馬之智 셀라비 2014.06.21 1849
327 結者解之 셀라비 2014.12.05 1844
326 鴛 鴦 이규 2013.12.01 1843
325 妄 言 이규 2013.09.20 18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