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16
어제:
257
전체:
762,418

한자 座右銘

2014.04.09 19:37

셀라비 조회 수:1600

座右銘

자리

오른

새길

 

반성의 자료로 삼는 격언이나 경구

 

座右銘이란 자리 오른쪽에 붙여 놓고 反省資料로 삼는 格言이나 警句를말한다. 그러나 原來文章이 아니라 술독을 사용했다고 한다. 나라는 春秋五覇의 하나였던 桓公(환공)이 죽자 廟堂(묘당)을 세우고 各種 祭器陳列해놓았는데 그중 하나가 이상한 술독이었다. 텅 비어있을 때는 기울어져 있다가도 술을 반쯤 담으면 바로 섰다가 가득 채우면 다시 엎어지는 술독이었다. 하루는 孔子弟子들과 함께 그 廟堂을 찾았는데 博識했던 孔子도 그 술독만은 알아볼 수 없었다. 擔當 官吏에게 듣고 나서 그는 무릎을 쳤다.

저것이 그 옛날 齊桓公椅子 오른쪽에 두고 가득 차는 것을 警戒했던 바로 그 술독이로구나!』 그는 弟子들에게 물을 길어와 그 술독을 채워보도록 했다. 과연 비스듬히 세워져 있던 술독이 물이 차오름에 따라 바로 서더니만 나중에는 다시 쓰러지는 것이 아닌가. 孔子가 말했다.

공부도 이와 같은 것이다. 다 배웠다고(가득 찼다고) 교만(驕慢)을 부리는 는 반드시 를 당하게 되는 이니라. 집에 돌아온 그는 똑같은 술독을 만들어 椅子 오른쪽에 두고는 스스로를 가다듬었다고 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4 鷄鳴拘吠 셀라비 2014.12.25 2121
443 鷄鳴狗盜 셀라비 2014.12.19 1954
442 契酒生面 셀라비 2014.12.18 2115
441 鷄肋 셀라비 2014.12.17 2152
440 鷄卵有骨 셀라비 2014.12.14 2013
439 經世濟民 LeeKyoo 2014.12.12 2008
438 傾國之色 셀라비 2014.12.09 2083
437 兼人之勇 셀라비 2014.12.08 1974
436 結草報恩 셀라비 2014.12.06 2263
435 結者解之 셀라비 2014.12.05 1783
434 犬馬之養 셀라비 2014.12.04 1954
433 犬馬之勞 셀라비 2014.12.03 1892
432 隔靴搔痒 셀라비 2014.12.02 1694
431 格物致知 셀라비 2014.12.01 1675
430 乾木水生 셀라비 2014.11.30 1480
429 乾坤一擲 셀라비 2014.11.29 1352
428 甲男乙女 셀라비 2014.11.27 1286
427 甘呑苦吐 셀라비 2014.11.26 1513
426 感慨無量 셀라비 2014.11.25 1577
425 渴而穿井 셀라비 2014.11.24 2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