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79
어제:
1,101
전체:
763,482

한자 座右銘

2014.04.09 19:37

셀라비 조회 수:1654

座右銘

자리

오른

새길

 

반성의 자료로 삼는 격언이나 경구

 

座右銘이란 자리 오른쪽에 붙여 놓고 反省資料로 삼는 格言이나 警句를말한다. 그러나 原來文章이 아니라 술독을 사용했다고 한다. 나라는 春秋五覇의 하나였던 桓公(환공)이 죽자 廟堂(묘당)을 세우고 各種 祭器陳列해놓았는데 그중 하나가 이상한 술독이었다. 텅 비어있을 때는 기울어져 있다가도 술을 반쯤 담으면 바로 섰다가 가득 채우면 다시 엎어지는 술독이었다. 하루는 孔子弟子들과 함께 그 廟堂을 찾았는데 博識했던 孔子도 그 술독만은 알아볼 수 없었다. 擔當 官吏에게 듣고 나서 그는 무릎을 쳤다.

저것이 그 옛날 齊桓公椅子 오른쪽에 두고 가득 차는 것을 警戒했던 바로 그 술독이로구나!』 그는 弟子들에게 물을 길어와 그 술독을 채워보도록 했다. 과연 비스듬히 세워져 있던 술독이 물이 차오름에 따라 바로 서더니만 나중에는 다시 쓰러지는 것이 아닌가. 孔子가 말했다.

공부도 이와 같은 것이다. 다 배웠다고(가득 찼다고) 교만(驕慢)을 부리는 는 반드시 를 당하게 되는 이니라. 집에 돌아온 그는 똑같은 술독을 만들어 椅子 오른쪽에 두고는 스스로를 가다듬었다고 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4 傾 聽 이규 2013.07.03 1516
363 擧足輕重 이규 2013.03.01 1518
362 前 轍 이규 2013.06.24 1518
361 杞 憂 셀라비 2014.06.05 1518
360 壽則多辱 셀라비 2014.08.21 1519
359 簞食瓢飮 이규 2013.04.17 1520
358 乾木水生 셀라비 2014.11.30 1520
357 有備無患 이규 2012.11.12 1521
356 所聞 이규 2013.02.01 1521
355 菽麥 이규 2013.02.02 1522
354 居安思危 이규 2013.03.26 1524
353 慢慢的 이규 2012.11.15 1525
352 盲人摸象 이규 2013.02.25 1527
351 瓦斯 이규 2013.02.12 1530
350 觀 察 셀라비 2014.03.28 1531
349 肝膽相照 [1] 셀라비 2014.11.23 1533
348 守株待兎 이규 2013.03.29 1537
347 秋霜 이규 2013.02.04 1541
346 出 馬 이규 2013.06.04 1541
345 刑罰 이규 2013.02.01 15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