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18
어제:
286
전체:
767,622

한자 座右銘

2014.04.09 19:37

셀라비 조회 수:1736

座右銘

자리

오른

새길

 

반성의 자료로 삼는 격언이나 경구

 

座右銘이란 자리 오른쪽에 붙여 놓고 反省資料로 삼는 格言이나 警句를말한다. 그러나 原來文章이 아니라 술독을 사용했다고 한다. 나라는 春秋五覇의 하나였던 桓公(환공)이 죽자 廟堂(묘당)을 세우고 各種 祭器陳列해놓았는데 그중 하나가 이상한 술독이었다. 텅 비어있을 때는 기울어져 있다가도 술을 반쯤 담으면 바로 섰다가 가득 채우면 다시 엎어지는 술독이었다. 하루는 孔子弟子들과 함께 그 廟堂을 찾았는데 博識했던 孔子도 그 술독만은 알아볼 수 없었다. 擔當 官吏에게 듣고 나서 그는 무릎을 쳤다.

저것이 그 옛날 齊桓公椅子 오른쪽에 두고 가득 차는 것을 警戒했던 바로 그 술독이로구나!』 그는 弟子들에게 물을 길어와 그 술독을 채워보도록 했다. 과연 비스듬히 세워져 있던 술독이 물이 차오름에 따라 바로 서더니만 나중에는 다시 쓰러지는 것이 아닌가. 孔子가 말했다.

공부도 이와 같은 것이다. 다 배웠다고(가득 찼다고) 교만(驕慢)을 부리는 는 반드시 를 당하게 되는 이니라. 집에 돌아온 그는 똑같은 술독을 만들어 椅子 오른쪽에 두고는 스스로를 가다듬었다고 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4 骨董品 셀라비 2014.03.01 1953
143 選 良 이규 2013.08.07 1955
142 入吾彀中 이규 2013.10.14 1956
141 幣 帛 이규 2013.10.13 1962
140 審判 이규 2012.10.30 1963
139 花 信 셀라비 2013.08.02 1964
138 淸 貧 yikyoo 2014.06.15 1964
137 五十笑百 이규 2013.09.11 1968
136 櫛 比 이규 2013.08.08 1970
135 雲 集 이규 2013.08.09 1974
134 國會 이규 2012.11.07 1976
133 猪 突 이규 2013.11.27 1977
132 大器晩成 이규 2013.10.22 1981
131 奇蹟 이규 2012.12.06 1984
130 席 捲 이규 2013.05.31 1985
129 孤立無援 셀라비 2015.04.12 1985
128 知 音 셀라비 2014.03.24 1987
127 竹馬故友 셀라비 2014.10.17 1987
126 奇貨可居 이규 2013.04.29 1989
125 沐浴 [1] 이규 2013.04.08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