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79
어제:
289
전체:
769,356

한자 座右銘

2014.04.09 19:37

셀라비 조회 수:1774

座右銘

자리

오른

새길

 

반성의 자료로 삼는 격언이나 경구

 

座右銘이란 자리 오른쪽에 붙여 놓고 反省資料로 삼는 格言이나 警句를말한다. 그러나 原來文章이 아니라 술독을 사용했다고 한다. 나라는 春秋五覇의 하나였던 桓公(환공)이 죽자 廟堂(묘당)을 세우고 各種 祭器陳列해놓았는데 그중 하나가 이상한 술독이었다. 텅 비어있을 때는 기울어져 있다가도 술을 반쯤 담으면 바로 섰다가 가득 채우면 다시 엎어지는 술독이었다. 하루는 孔子弟子들과 함께 그 廟堂을 찾았는데 博識했던 孔子도 그 술독만은 알아볼 수 없었다. 擔當 官吏에게 듣고 나서 그는 무릎을 쳤다.

저것이 그 옛날 齊桓公椅子 오른쪽에 두고 가득 차는 것을 警戒했던 바로 그 술독이로구나!』 그는 弟子들에게 물을 길어와 그 술독을 채워보도록 했다. 과연 비스듬히 세워져 있던 술독이 물이 차오름에 따라 바로 서더니만 나중에는 다시 쓰러지는 것이 아닌가. 孔子가 말했다.

공부도 이와 같은 것이다. 다 배웠다고(가득 찼다고) 교만(驕慢)을 부리는 는 반드시 를 당하게 되는 이니라. 집에 돌아온 그는 똑같은 술독을 만들어 椅子 오른쪽에 두고는 스스로를 가다듬었다고 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4 遼東豕 셀라비 2014.01.23 1759
283 讀 書 이규 2013.06.30 1762
282 華胥之夢 셀라비 2014.07.22 1765
281 臥薪嘗膽 이규 2013.06.03 1766
280 身言書判 이규 2013.06.12 1766
279 弔 問 [1] 셀라비 2014.04.16 1766
278 小 心 셀라비 2014.02.13 1767
277 獨眼龍 셀라비 2014.07.05 1771
276 鼻 祖 셀라비 2014.03.17 1772
275 脾 肉 셀라비 2014.02.10 1773
274 口舌數 셀라비 2014.03.14 1773
» 座右銘 셀라비 2014.04.09 1774
272 山陰乘興 [1] 이규 2013.05.06 1779
271 明 堂 셀라비 2014.04.15 1779
270 阿修羅場 셀라비 2012.11.11 1780
269 茶 禮 셀라비 2014.01.09 1780
268 畵虎類狗 셀라비 2014.06.29 1783
267 登龍門 lkplk@hitel.net 2014.01.22 1785
266 氷炭不容 이규 2013.03.24 1786
265 拔苗助長 이규 2013.04.04 17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