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181
어제:
1,101
전체:
763,684

理判事判

2013.03.07 20:31

이규 조회 수:1385


理 다스릴리
判 쪼갤판
事 일사
判 쪼갤판

 

 뾰족한 방법이 없어 막다른 상황에 이름


  朝鮮時代 抑佛政策은 僧侶들로 하여금 두가지 方向에서 活路를 模索케 했다.  寺刹을 存續기키는 것과 佛法의 脈을 잇는 것이었다.  그래서 一部 僧侶들은 廢寺를 막기 위해 온갖 苦難을 이겨내고 寺院의 維持 經營에 獻身했다.  이와는 달리 俗世를 피해 隱遁하면서 參禪과 讀經으로 佛法을 이은 僧侶도 많았다.  前者를 事判僧(山林僧), 後者를 理判僧(工夫僧)이라고 했다.
  自然히 兩者間에는 特徵이 있게 되었다.  一部 事判僧에는 敎理에 어두운 凡僧이 있었고, 理判僧은 工夫에만 置重함으로써 佛敎의 外形的 發展에는 그다지 큰 寄與를 하지 못했다.  그러나 兩者는 相互 補完의 關係에 있었다.  廢寺를 막음으로써 寺刹의 命脈을 이은 것은 事判僧의 功勞이며, 부처님의 慧光을 傳하고 佛法을 이은 것은 理判僧의 功勞였다. 
  그럼에도 解放後 한 때 比丘僧 帶妻僧의 다툼이 있었을 때 各其 理判僧․事判僧 比喩해 相互 批判했던 적이 있었다.  사실 朝鮮王朝 5百年 동안 史上 類例없는 抑佛政策에도 不具하고 佛敎가 살아 남을 수 있었던 것은 理判․事判의 功이 아닌가.  그러나 理判․事判을 다 시도했지만 妙案이 없다면 그야말로 ‘理判事判’, 自暴自棄가 될 수 밖에 없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4 輻輳 이규 2013.01.02 1106
423 恒産恒心 이규 2013.01.02 1114
422 蠶室 이규 2013.01.05 1136
421 燈火可親 이규 2013.01.07 1097
420 葡萄 이규 2013.01.09 1150
419 崩壞 이규 2013.01.13 1126
418 阿鼻叫喚 [2] 이규 2013.01.14 1080
417 籠絡 이규 2013.01.15 1067
416 伯仲勢 이규 2013.01.16 1093
415 左遷 이규 2013.01.17 1136
414 出師表 이규 2013.01.18 1130
413 吳越同舟 이규 2013.01.19 1130
412 一瀉千里 이규 2013.01.20 1067
411 鳩首會議 이규 2013.01.21 1203
410 變姓名 이규 2013.01.22 1145
409 納凉 이규 2013.01.23 1097
408 汚染 이규 2013.01.24 1191
407 香肉 이규 2013.01.25 1064
406 波紋 이규 2013.01.27 1346
405 赦免 [1] 이규 2013.01.27 1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