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86
어제:
257
전체:
762,488

한자 雲 集

2013.08.09 21:55

이규 조회 수:1854

雲 集

구름

모일

 

 

구름과 새떼처럼 몰려듦

 

 

은 비()가 올 듯한 氣運이 뭉게뭉게() 떠있는 形象으로 구름을 뜻한다. 한편 (새 추)(나무 목)合成字. 는 새의 模襲을 그린 글자다. 전혀 닮지 않았는데 그것은 그만큼 漢字가 많이 변했기 때문이다. 새를 뜻하는 글자에 조()도 있다. 굳이 區別한다면 꽁지가 긴 것이 ()짧은 것이 . 따라서 이라면 새()가 나무()위에 앉아 있는 模襲을 뜻한다. 그런데 새는 떼를 지어 산다. 그래서 본디 자는 나무 위에 가 셋이나 있는 形態였는데, 너무 複雜했으므로 現在의 한마리로 줄였을 뿐이다.

雲集이라면 사람이 구름이나 새떼처럼 모여들어 문전성시(門前成市)가 되는것을 말한다. 진시황(秦始皇)이 죽고 아들 호해(胡亥)가 섰지만 사치(奢侈)와 포악(暴惡)은 오히려 전보다 더했다. 百姓은 도저히 견딜 수가 없었다. 이때 진승(陳勝)軍士를 모아 반란(叛亂)을 일으켰다. 擧兵 소식을 듣고는 天下百姓들이 그의 휘하(麾下)로 몰려 들었다. 사마천(司馬遷)사기(史記)에서 그것을 雲集이라고 表現했다. 마치 구름이 모이고 새떼가 나무위에 몰려 있는 것과 같다고 보았던 것이다. 陳勝反亂契機은 마침내 하게 된다. 雲集反對가 무산(霧散)이다. 안개처럼 흩어지는 것이다. 이처럼 漢字에는 自然現狀을 빗대어 만든 재미있는 單語가 많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4 信賞必罰 셀라비 2013.10.27 2004
403 한자어의 연관성(聯關性) [2] 이규 2012.12.08 1999
402 천둥벌거숭이 셀라비 2015.05.02 1993
401 兼人之勇 셀라비 2014.12.08 1993
400 犬馬之心 이규 2013.09.27 1993
399 持 滿 이규 2013.11.28 1992
398 千字文 이규 2013.10.12 1985
397 鷄鳴狗盜 셀라비 2014.12.19 1984
396 犬馬之養 셀라비 2014.12.04 1973
395 泣斬馬謖 이규 2013.10.28 1967
394 사리 셀라비 2015.04.18 1965
393 文 獻 셀라비 2014.03.03 1963
392 人 倫 이규 2013.07.29 1955
391 孤軍奮鬪 셀라비 2015.03.27 1952
390 危機一髮 이규 2013.10.18 1952
389 高麗公事三日 셀라비 2015.04.02 1949
388 苦 杯 이규 2013.08.03 1949
387 問 鼎 이규 2013.11.23 1948
386 改 閣 이규 2013.08.26 1942
385 三寸舌 셀라비 2014.01.24 19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