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41
어제:
296
전체:
767,941

刎頸之交

2013.02.27 11:47

홍석균 조회 수:3611

 

刎(벨 문)頸(목 경)之(의 지)交(사귈 교)
목을 베어 줄 수 있을 정도로 절친한 우정 또는 그런 벗을 뜻한다.
 
 
전국 시대 조나라에 인상여라는 사람이 있었다.
원래 조정 대신 무현의 식객이었으나, 진나라에 빼앗길 뻔한 천하의 보물 화씨벽이란 옥을 무사히 구해 가져온 공로로
혜문왕으로부터 일약 상대부란 높은 벼슬을 받았다.
그로부터 3년 후, 혜문왕과 진나라 소양왕은 하남성의 민지라는 곳에 회동하게 되었을 때 인상여는 왕을 수행하게 되었다.
술자리가 무르익었을 때 소양왕은 혜문왕에게 망신을 주려고 시비를 걸었다.
그러자 인상여가 가로막고 나서서 오히려 소양왕을 무색하게 만들었고, 그 공으로 나중에 돌아와서는 상경이 되었다.
이처럼 인상여의 벼슬이 갑자기 높아지자, 주위에서 말이 많았다.
특히 상장군 염파는 몹시 분개하여 이렇게 불만을 토로했다.
"나는 목숨을 걸고 전장을 누비며 나라를 숱한 위기에서 구한 사람이다.
그런데도 세 치 혓바닥 몇 번 놀린 것밖에 한 일이 없는 자가 내 윗자리에 올라서다니, 도저히 참을 수 없구나.
내 언제 이 자를 한번 만나기만 하면 톡톡히 망신을 주고 말 테다."
이 말을 전해 들은 인상여는 될 수 있으면 염파와 부딪치지 않으려고 몸조심했다.
몸이 아프다는 핑계로 조회에 나가지 않았고, 어쩌다 길에서 저만치 염파가 보이면 얼른 옆길로 돌아서 가곤했다.
인상여가 아무런 부끄러움도 없이 이처럼 비겁한 꼴을 보이자, 그의 가신들이 자존심 상하여 모두 몰려와 항의했다.
"저희들은 상공의 의로움과 경륜을 흠모하여 지금까지 성심성의로 모셔 왔습니다.
그런데 지금 상공보다 서열이 떨어지는 염파 장군을 두려워하여 몸조심하시는 것은 오히려 저희들이 부끄러워 참을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모두 집으로 돌아가기로 의견을 모았으니 용서해 주십시요."
그 말을 들은 인상여가 물었다.
"그대들은 염파 장군과 진나라 임금 중의 어느 쪽이 두려운 존재라고 생각하는가?"
"그야 물론 진나라 임금이지요."
"나는 여러 사람들이 보는 앞에서 그 진나라 임금을 꾸짖고 혼내준 사람이다.
그런 내가 어찌 염파 장군을 두려워하겠느냐.
지금의 양국 관계를 살펴보면, 우리 나라는 진나라보다 국력이 확실히 한 수 아래로 처지는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나라가 섣불리 침공하지 못하는 것은 염파 장군과 내가 버티고 있기 때문임을 그대들도 인정할
것이다.
만일 우리 두 호랑이가 안에서 싸우게 되면 어느 한 쪽이 다치거나 죽게 될 것인데, 그러면 진나라가 옳다구나 하고
쳐들어올 것이 아니냐?
내가 장군하고 되도록이면 부딪치지 않으려고 신경쓰는 것은 그런 이유 때문이다."
그제야 가신들은 감복하여 사죄하고 물러갔다.
나중에 그 이야기를 전해 들은 염파는 자기가 몹시 경솔했음을 깨달았다.
스스로 웃통을 벗고 형구를 짊어진 채 인상여를 찾아가 섬돌 아래 꿇어앉아 사죄했다.
"이 미련한 인간이 상공의 높으신 뜻을 헤아리지 못하고 버릇 없는 짓을 했습니다.
부디 벌해 주십시오."
인상여는 버선발로 달려 나가 염파를 맞아들여 따뜻한 말로 위로했고, 그로부터 두 사람은 상대방을 위해 목이라도
내 줄 정도의 우정을 맺었다고 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신궁이 되는 비결 셀라비 2014.10.01 83889
233 白玉樓 홍석균 2013.03.21 3491
232 결단하면 신이 돕기 시작한다. 이규 2013.03.21 3477
231 白眼視 [1] 홍석균 2013.03.20 3435
230 견디기 힘든 것은 좋은 날씨의 연속이다. 이규 2013.03.20 3401
229 伯牙絶鉉 홍석균 2013.03.19 3534
228 신발 정리 이규 2013.03.19 3567
227 낙담하지 말라 이규 2013.03.19 3446
226 百發百中 홍석균 2013.03.18 3401
225 白眉 홍석균 2013.03.18 3371
224 많이 주는 자가 부자이다. 이규 2013.03.18 3501
223 斑衣戱 홍석균 2013.03.16 3692
222 伴食宰相 홍석균 2013.03.15 3681
221 적응은 무서운 체념을 부른다. 이규 2013.03.15 3427
220 半面之交 홍석균 2013.03.14 3528
219 진정한 행복은 남에게 베푸는 데서 온다. 이규 2013.03.14 3669
218 盤根錯節 홍석균 2013.03.13 3431
217 만물은 성하면 반드시 쇠하기 마련이다 이규 2013.03.13 3677
216 터무니없어 보이는 높은 목표를 공개적으로 밝히기 이규 2013.03.12 3430
215 反骨 홍석균 2013.03.11 3332
214 성공이 우리에게 다가오는 법 이규 2013.03.11 3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