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18
어제:
257
전체:
762,420

盲人摸象

2013.02.25 20:25

이규 조회 수:1491


盲 장님맹
人 사람인
摸 더듬을모
象 코끼리상

 

 盲人摸象-장님 코끼리 만지기


  사람의 處世에는 大體로 세가지 類型이 있다.  자기 主張만 하는 사람, 남의 말에 쉽게 따르는 사람, 또 이 둘의 折衷型이 그것이다.  이중 가장 問題가 되는 것은 첫번째 類型이다.  이런 사람은 獨善과 我執이 强해 對話나 妥協이 不可能하다.  分明히 是非優劣이 드러나도 좀처럼 認定하려 들지 않는다.  自己 爲主의 狀況에서 出發하기 때문이다.  佛家에서는 이런 人間의 誤謬를 깨우치고 있다.  衆生들이 도무지 佛性을 把握하지 못한 채 다들 장님 코끼리 만지듯 제멋대로 解析한다는 것이다.
   옛날 印度의 한 王이 大臣을 시켜 코끼리 한 마리를 가져오게 한뒤 장님들에게 만져 보도록 했다.  그런 다음 어떤 模樣이었는지 물었다.  장님들의 對答은 各樣各色이었다.  이빨을 만진 이는 무우, 귀를 만진 이는 키(箕)처럼 생겼다고 했고, 다리를 만진 이는 절굿공이, 등을 만진 이는 平床같이 생겼다고 했다.  또 배를 만졌던 장님은 장독, 꼬리를 만진 이는 새끼줄처럼 생겼다고 對答했다.
  하지만 그것이 어디 장님뿐이겠는가.  정상적인 사람도 너무 자기의 主見에만 얽매인 나머지 誤謬를 범하는 수가 많다.  남의 立場도 생각할 줄 아는 易地思之의 態度가 必要하다.  共存共生은 여기에서 비롯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4 發祥地 이규 2013.10.20 1921
383 靑 春 [1] 셀라비 2014.04.28 1918
382 한자어의 짜임 - 수식 관계 이규 2012.11.25 1918
381 至孝 이규 2012.10.29 1915
380 개개다(개기다) 셀라비 2015.03.27 1914
379 狐假虎威 이규 2013.10.11 1906
378 疑心暗鬼 셀라비 2014.08.31 1904
377 快 擧 이규 2013.07.21 1903
376 賞 春 이규 2013.08.15 1900
375 尾生之信 이규 2013.05.13 1900
374 犬馬之勞 셀라비 2014.12.03 1892
373 景福宮 셀라비 2012.10.28 1889
372 沐浴 [1] 이규 2013.04.08 1886
371 奇貨可居 이규 2013.04.29 1885
370 七縱七擒 이규 2013.06.06 1881
369 伏地不動 셀라비 2013.10.30 1880
368 성어(成語),고사(故事) 이규 2012.12.08 1880
367 季札掛劍 셀라비 2014.12.28 1878
366 標 榜 이규 2013.08.10 1872
365 奇蹟 이규 2012.12.06 18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