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34
어제:
783
전체:
770,094

盲人摸象

2013.02.25 20:25

이규 조회 수:1645


盲 장님맹
人 사람인
摸 더듬을모
象 코끼리상

 

 盲人摸象-장님 코끼리 만지기


  사람의 處世에는 大體로 세가지 類型이 있다.  자기 主張만 하는 사람, 남의 말에 쉽게 따르는 사람, 또 이 둘의 折衷型이 그것이다.  이중 가장 問題가 되는 것은 첫번째 類型이다.  이런 사람은 獨善과 我執이 强해 對話나 妥協이 不可能하다.  分明히 是非優劣이 드러나도 좀처럼 認定하려 들지 않는다.  自己 爲主의 狀況에서 出發하기 때문이다.  佛家에서는 이런 人間의 誤謬를 깨우치고 있다.  衆生들이 도무지 佛性을 把握하지 못한 채 다들 장님 코끼리 만지듯 제멋대로 解析한다는 것이다.
   옛날 印度의 한 王이 大臣을 시켜 코끼리 한 마리를 가져오게 한뒤 장님들에게 만져 보도록 했다.  그런 다음 어떤 模樣이었는지 물었다.  장님들의 對答은 各樣各色이었다.  이빨을 만진 이는 무우, 귀를 만진 이는 키(箕)처럼 생겼다고 했고, 다리를 만진 이는 절굿공이, 등을 만진 이는 平床같이 생겼다고 했다.  또 배를 만졌던 장님은 장독, 꼬리를 만진 이는 새끼줄처럼 생겼다고 對答했다.
  하지만 그것이 어디 장님뿐이겠는가.  정상적인 사람도 너무 자기의 主見에만 얽매인 나머지 誤謬를 범하는 수가 많다.  남의 立場도 생각할 줄 아는 易地思之의 態度가 必要하다.  共存共生은 여기에서 비롯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4 洪水 이규 2013.02.02 1485
423 三人成虎 셀라비 2014.10.28 1487
422 喪家之狗 이규 2013.05.15 1496
421 告由文 이규 2013.07.08 1498
420 乾坤一擲 셀라비 2014.11.29 1500
419 賂物 이규 2012.12.11 1501
418 古 稀 셀라비 2014.09.22 1506
417 未亡人 셀라비 2014.10.29 1507
416 糟糠之妻 셀라비 2014.10.14 1508
415 周 年 이규 2013.06.20 1512
414 文 字 이규 2013.07.06 1517
413 白 眉 셀라비 2014.09.26 1524
412 亡國之音 셀라비 2014.08.15 1526
411 刻舟求劍 셀라비 2014.11.21 1529
410 匹夫之勇 이규 2013.05.11 1534
409 枕流漱石 셀라비 2014.08.30 1536
408 野合而生 이규 2013.04.02 1537
407 苛政猛於虎 셀라비 2014.05.03 1539
406 刻骨難忘 [1] 셀라비 2014.11.19 1539
405 應接不暇 이규 2013.05.08 15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