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35
어제:
286
전체:
767,069

盲人摸象

2013.02.25 20:25

이규 조회 수:1604


盲 장님맹
人 사람인
摸 더듬을모
象 코끼리상

 

 盲人摸象-장님 코끼리 만지기


  사람의 處世에는 大體로 세가지 類型이 있다.  자기 主張만 하는 사람, 남의 말에 쉽게 따르는 사람, 또 이 둘의 折衷型이 그것이다.  이중 가장 問題가 되는 것은 첫번째 類型이다.  이런 사람은 獨善과 我執이 强해 對話나 妥協이 不可能하다.  分明히 是非優劣이 드러나도 좀처럼 認定하려 들지 않는다.  自己 爲主의 狀況에서 出發하기 때문이다.  佛家에서는 이런 人間의 誤謬를 깨우치고 있다.  衆生들이 도무지 佛性을 把握하지 못한 채 다들 장님 코끼리 만지듯 제멋대로 解析한다는 것이다.
   옛날 印度의 한 王이 大臣을 시켜 코끼리 한 마리를 가져오게 한뒤 장님들에게 만져 보도록 했다.  그런 다음 어떤 模樣이었는지 물었다.  장님들의 對答은 各樣各色이었다.  이빨을 만진 이는 무우, 귀를 만진 이는 키(箕)처럼 생겼다고 했고, 다리를 만진 이는 절굿공이, 등을 만진 이는 平床같이 생겼다고 했다.  또 배를 만졌던 장님은 장독, 꼬리를 만진 이는 새끼줄처럼 생겼다고 對答했다.
  하지만 그것이 어디 장님뿐이겠는가.  정상적인 사람도 너무 자기의 主見에만 얽매인 나머지 誤謬를 범하는 수가 많다.  남의 立場도 생각할 줄 아는 易地思之의 態度가 必要하다.  共存共生은 여기에서 비롯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4 輻輳 이규 2013.01.02 1164
423 恒産恒心 이규 2013.01.02 1183
422 蠶室 이규 2013.01.05 1191
421 燈火可親 이규 2013.01.07 1152
420 葡萄 이규 2013.01.09 1218
419 崩壞 이규 2013.01.13 1196
418 阿鼻叫喚 [2] 이규 2013.01.14 1130
417 籠絡 이규 2013.01.15 1133
416 伯仲勢 이규 2013.01.16 1160
415 左遷 이규 2013.01.17 1186
414 出師表 이규 2013.01.18 1191
413 吳越同舟 이규 2013.01.19 1196
412 一瀉千里 이규 2013.01.20 1123
411 鳩首會議 이규 2013.01.21 1268
410 變姓名 이규 2013.01.22 1210
409 納凉 이규 2013.01.23 1163
408 汚染 이규 2013.01.24 1256
407 香肉 이규 2013.01.25 1129
406 波紋 이규 2013.01.27 1399
405 赦免 [1] 이규 2013.01.27 1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