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84
어제:
1,101
전체:
763,487

膺懲

2013.02.18 21:06

이규 조회 수:1599


膺칠응
懲징계할징


 膺懲=못된 자를 치는 것

 


  膺은 膺(응)의 變形된 글자이다.  膺은 ‘매’를 意味한다.  매가 새의 살(肉-月)을 마구 쪼아 먹는 것이 膺으로 ‘공격하다’, ‘치다’는 뜻이다.  懲은 徵과 心의 結合인데 徵에는 ‘거두다’는 뜻(徵收, 徵發, 追徵)외에 ‘徵驗’, ‘效驗’의 뜻도 있으므로 懲은 ‘마음’으로 相對의 잘못을 바로 잡는다는 뜻이다.  그래서 ‘꾸짖다’가 된다.  懲戒, 懲役, 勸善懲惡이 있다.  그러니까 膺懲은 相對方을 ‘쳐서 꾸짖는 것’이 아닐까.  본디 異民族을 쳐서 잘못을 悔改토록 하는 것을 뜻한다.
  中國은 일찍부터 中華思想에 젖어 바깥은 모두 오랑캐로 보았다.  그래서 所謂 동이(東夷), 서융(西戎), 남만(南蠻), 북적(北狄)이라는 四夷觀이 나타나는데 이 때문에 우리나라도 東夷가 되고 말았다.  이런 고약한 생각은 孟子같은 聖人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그 尺度가 種族이 아닌 文化에 있었던만큼 一端 中國의 文化를 받아들이면 같은 中華로 格上시켜(?) 주었다.
  그러나 끝까지 中國의 文化를 拒否하면 武力으로 쳤는데 그것이 바로 ‘膺懲’이었다.  곧 膺懲은 본디 野蠻人을 罰주는 한 方法이었던 것이 지금에 와서는 ‘못된 者를 치는 것’을 뜻하게 된 것이다.  北韓의 터무니 없는 挑發에 膺懲의 목소리가 높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4 露 骨 이규 2013.05.29 1242
163 淘 汰 이규 2013.05.28 1590
162 鷄鳴拘盜 이규 2013.05.27 1621
161 百年河淸 이규 2013.05.26 1397
160 亡牛補牢 이규 2013.05.24 1348
159 西 方 이규 2013.05.23 1516
158 骨肉相爭 이규 2013.05.22 1265
157 他山之石 이규 2013.05.21 1463
156 分 野 이규 2013.05.20 1321
155 干 支 이규 2013.05.19 1318
154 白髮三千丈 이규 2013.05.17 1482
153 刮目相對 이규 2013.05.16 1377
152 喪家之狗 이규 2013.05.15 1388
151 關 鍵 이규 2013.05.14 1546
150 尾生之信 이규 2013.05.13 1935
149 匹夫之勇 이규 2013.05.11 1444
148 水落石出 이규 2013.05.10 1715
147 指鹿爲馬 이규 2013.05.09 1258
146 輾轉反側 이규 2013.05.08 1189
145 應接不暇 이규 2013.05.08 14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