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685
어제:
776
전체:
770,821

膺懲

2013.02.18 21:06

이규 조회 수:1718


膺칠응
懲징계할징


 膺懲=못된 자를 치는 것

 


  膺은 膺(응)의 變形된 글자이다.  膺은 ‘매’를 意味한다.  매가 새의 살(肉-月)을 마구 쪼아 먹는 것이 膺으로 ‘공격하다’, ‘치다’는 뜻이다.  懲은 徵과 心의 結合인데 徵에는 ‘거두다’는 뜻(徵收, 徵發, 追徵)외에 ‘徵驗’, ‘效驗’의 뜻도 있으므로 懲은 ‘마음’으로 相對의 잘못을 바로 잡는다는 뜻이다.  그래서 ‘꾸짖다’가 된다.  懲戒, 懲役, 勸善懲惡이 있다.  그러니까 膺懲은 相對方을 ‘쳐서 꾸짖는 것’이 아닐까.  본디 異民族을 쳐서 잘못을 悔改토록 하는 것을 뜻한다.
  中國은 일찍부터 中華思想에 젖어 바깥은 모두 오랑캐로 보았다.  그래서 所謂 동이(東夷), 서융(西戎), 남만(南蠻), 북적(北狄)이라는 四夷觀이 나타나는데 이 때문에 우리나라도 東夷가 되고 말았다.  이런 고약한 생각은 孟子같은 聖人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그 尺度가 種族이 아닌 文化에 있었던만큼 一端 中國의 文化를 받아들이면 같은 中華로 格上시켜(?) 주었다.
  그러나 끝까지 中國의 文化를 拒否하면 武力으로 쳤는데 그것이 바로 ‘膺懲’이었다.  곧 膺懲은 본디 野蠻人을 罰주는 한 方法이었던 것이 지금에 와서는 ‘못된 者를 치는 것’을 뜻하게 된 것이다.  北韓의 터무니 없는 挑發에 膺懲의 목소리가 높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4 長頸烏喙 이규 2013.05.30 1713
323 街談港說 이규 2012.12.11 1714
» 膺懲 이규 2013.02.18 1718
321 獅子喉 이규 2013.02.12 1720
320 官 吏 셀라비 2014.03.23 1720
319 家書萬金 셀라비 2014.11.17 1722
318 復舊 이규 2012.11.05 1723
317 不惑 이규 2012.12.17 1726
316 錦衣夜行 셀라비 2014.06.02 1726
315 師表 이규 2013.02.04 1729
314 雲 雨 셀라비 2013.11.02 1731
313 後生可畏 이규 2013.11.24 1733
312 破廉恥 이규 2012.11.24 1734
311 街談港說 셀라비 2013.10.20 1737
310 文化 이규 2012.12.03 1739
309 騎虎之勢 이규 2013.04.01 1739
308 公 約 셀라비 2014.05.27 1743
307 家 臣 셀라비 2014.02.24 1745
306 鷄鳴拘盜 이규 2013.05.27 1749
305 鳳 凰 이규 2013.06.22 17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