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64
어제:
783
전체:
770,124

膺懲

2013.02.18 21:06

이규 조회 수:1713


膺칠응
懲징계할징


 膺懲=못된 자를 치는 것

 


  膺은 膺(응)의 變形된 글자이다.  膺은 ‘매’를 意味한다.  매가 새의 살(肉-月)을 마구 쪼아 먹는 것이 膺으로 ‘공격하다’, ‘치다’는 뜻이다.  懲은 徵과 心의 結合인데 徵에는 ‘거두다’는 뜻(徵收, 徵發, 追徵)외에 ‘徵驗’, ‘效驗’의 뜻도 있으므로 懲은 ‘마음’으로 相對의 잘못을 바로 잡는다는 뜻이다.  그래서 ‘꾸짖다’가 된다.  懲戒, 懲役, 勸善懲惡이 있다.  그러니까 膺懲은 相對方을 ‘쳐서 꾸짖는 것’이 아닐까.  본디 異民族을 쳐서 잘못을 悔改토록 하는 것을 뜻한다.
  中國은 일찍부터 中華思想에 젖어 바깥은 모두 오랑캐로 보았다.  그래서 所謂 동이(東夷), 서융(西戎), 남만(南蠻), 북적(北狄)이라는 四夷觀이 나타나는데 이 때문에 우리나라도 東夷가 되고 말았다.  이런 고약한 생각은 孟子같은 聖人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그 尺度가 種族이 아닌 文化에 있었던만큼 一端 中國의 文化를 받아들이면 같은 中華로 格上시켜(?) 주었다.
  그러나 끝까지 中國의 文化를 拒否하면 武力으로 쳤는데 그것이 바로 ‘膺懲’이었다.  곧 膺懲은 본디 野蠻人을 罰주는 한 方法이었던 것이 지금에 와서는 ‘못된 者를 치는 것’을 뜻하게 된 것이다.  北韓의 터무니 없는 挑發에 膺懲의 목소리가 높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4 輻輳 이규 2013.01.02 1184
423 恒産恒心 이규 2013.01.02 1216
422 蠶室 이규 2013.01.05 1213
421 燈火可親 이규 2013.01.07 1181
420 葡萄 이규 2013.01.09 1235
419 崩壞 이규 2013.01.13 1215
418 阿鼻叫喚 [2] 이규 2013.01.14 1152
417 籠絡 이규 2013.01.15 1159
416 伯仲勢 이규 2013.01.16 1192
415 左遷 이규 2013.01.17 1199
414 出師表 이규 2013.01.18 1221
413 吳越同舟 이규 2013.01.19 1226
412 一瀉千里 이규 2013.01.20 1143
411 鳩首會議 이규 2013.01.21 1296
410 變姓名 이규 2013.01.22 1239
409 納凉 이규 2013.01.23 1177
408 汚染 이규 2013.01.24 1284
407 香肉 이규 2013.01.25 1147
406 波紋 이규 2013.01.27 1425
405 赦免 [1] 이규 2013.01.27 1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