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374
어제:
783
전체:
769,734

膺懲

2013.02.18 21:06

이규 조회 수:1703


膺칠응
懲징계할징


 膺懲=못된 자를 치는 것

 


  膺은 膺(응)의 變形된 글자이다.  膺은 ‘매’를 意味한다.  매가 새의 살(肉-月)을 마구 쪼아 먹는 것이 膺으로 ‘공격하다’, ‘치다’는 뜻이다.  懲은 徵과 心의 結合인데 徵에는 ‘거두다’는 뜻(徵收, 徵發, 追徵)외에 ‘徵驗’, ‘效驗’의 뜻도 있으므로 懲은 ‘마음’으로 相對의 잘못을 바로 잡는다는 뜻이다.  그래서 ‘꾸짖다’가 된다.  懲戒, 懲役, 勸善懲惡이 있다.  그러니까 膺懲은 相對方을 ‘쳐서 꾸짖는 것’이 아닐까.  본디 異民族을 쳐서 잘못을 悔改토록 하는 것을 뜻한다.
  中國은 일찍부터 中華思想에 젖어 바깥은 모두 오랑캐로 보았다.  그래서 所謂 동이(東夷), 서융(西戎), 남만(南蠻), 북적(北狄)이라는 四夷觀이 나타나는데 이 때문에 우리나라도 東夷가 되고 말았다.  이런 고약한 생각은 孟子같은 聖人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그 尺度가 種族이 아닌 文化에 있었던만큼 一端 中國의 文化를 받아들이면 같은 中華로 格上시켜(?) 주었다.
  그러나 끝까지 中國의 文化를 拒否하면 武力으로 쳤는데 그것이 바로 ‘膺懲’이었다.  곧 膺懲은 본디 野蠻人을 罰주는 한 方法이었던 것이 지금에 와서는 ‘못된 者를 치는 것’을 뜻하게 된 것이다.  北韓의 터무니 없는 挑發에 膺懲의 목소리가 높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4 如意 이규 2012.12.04 3268
443 焦眉 이규 2012.12.05 1685
442 奇蹟 이규 2012.12.06 2002
441 覇權 이규 2012.12.08 1248
440 한자어의 연관성(聯關性) [2] 이규 2012.12.08 2144
439 성어(成語),고사(故事) 이규 2012.12.08 2054
438 民心 이규 2012.12.09 1575
437 同盟 이규 2012.12.10 1444
436 賂物 이규 2012.12.11 1499
435 街談港說 이규 2012.12.11 1695
434 電擊 이규 2012.12.13 1219
433 兩立 이규 2012.12.13 1559
432 不惑 이규 2012.12.17 1700
431 犧牲 이규 2012.12.18 1355
430 管轄 이규 2012.12.20 1674
429 氾濫 이규 2012.12.26 1464
428 人質 이규 2012.12.27 1599
427 籌備 이규 2012.12.28 1617
426 憲法 이규 2012.12.29 1212
425 自暴自棄 이규 2013.01.01 17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