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180
어제:
249
전체:
760,763

膺懲

2013.02.18 21:06

이규 조회 수:1541


膺칠응
懲징계할징


 膺懲=못된 자를 치는 것

 


  膺은 膺(응)의 變形된 글자이다.  膺은 ‘매’를 意味한다.  매가 새의 살(肉-月)을 마구 쪼아 먹는 것이 膺으로 ‘공격하다’, ‘치다’는 뜻이다.  懲은 徵과 心의 結合인데 徵에는 ‘거두다’는 뜻(徵收, 徵發, 追徵)외에 ‘徵驗’, ‘效驗’의 뜻도 있으므로 懲은 ‘마음’으로 相對의 잘못을 바로 잡는다는 뜻이다.  그래서 ‘꾸짖다’가 된다.  懲戒, 懲役, 勸善懲惡이 있다.  그러니까 膺懲은 相對方을 ‘쳐서 꾸짖는 것’이 아닐까.  본디 異民族을 쳐서 잘못을 悔改토록 하는 것을 뜻한다.
  中國은 일찍부터 中華思想에 젖어 바깥은 모두 오랑캐로 보았다.  그래서 所謂 동이(東夷), 서융(西戎), 남만(南蠻), 북적(北狄)이라는 四夷觀이 나타나는데 이 때문에 우리나라도 東夷가 되고 말았다.  이런 고약한 생각은 孟子같은 聖人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그 尺度가 種族이 아닌 文化에 있었던만큼 一端 中國의 文化를 받아들이면 같은 中華로 格上시켜(?) 주었다.
  그러나 끝까지 中國의 文化를 拒否하면 武力으로 쳤는데 그것이 바로 ‘膺懲’이었다.  곧 膺懲은 본디 野蠻人을 罰주는 한 方法이었던 것이 지금에 와서는 ‘못된 者를 치는 것’을 뜻하게 된 것이다.  北韓의 터무니 없는 挑發에 膺懲의 목소리가 높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4 寒心 이규 2012.11.10 1787
143 五十笑百 이규 2013.09.11 1788
142 歸 順 이규 2013.07.23 1789
141 入吾彀中 이규 2013.10.14 1798
140 大議滅親 이규 2013.09.09 1800
139 幣 帛 이규 2013.10.13 1804
138 竹馬故友 셀라비 2014.10.17 1806
137 鼓腹擊壤 이규 2015.04.13 1806
136 櫛 比 이규 2013.08.08 1811
135 審判 이규 2012.10.30 1812
134 孤立無援 셀라비 2015.04.12 1813
133 不忍之心 이규 2013.07.13 1814
132 道 路 이규 2013.08.17 1816
131 席 捲 이규 2013.05.31 1817
130 花 信 셀라비 2013.08.02 1819
129 雲 集 이규 2013.08.09 1819
128 大公無私 이규 2013.10.16 1822
127 杯中蛇影 이규 2013.04.09 1825
126 단골집 셀라비 2015.03.30 1827
125 執牛耳 이규 2013.11.15 18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