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02
어제:
1,101
전체:
763,505

膺懲

2013.02.18 21:06

이규 조회 수:1605


膺칠응
懲징계할징


 膺懲=못된 자를 치는 것

 


  膺은 膺(응)의 變形된 글자이다.  膺은 ‘매’를 意味한다.  매가 새의 살(肉-月)을 마구 쪼아 먹는 것이 膺으로 ‘공격하다’, ‘치다’는 뜻이다.  懲은 徵과 心의 結合인데 徵에는 ‘거두다’는 뜻(徵收, 徵發, 追徵)외에 ‘徵驗’, ‘效驗’의 뜻도 있으므로 懲은 ‘마음’으로 相對의 잘못을 바로 잡는다는 뜻이다.  그래서 ‘꾸짖다’가 된다.  懲戒, 懲役, 勸善懲惡이 있다.  그러니까 膺懲은 相對方을 ‘쳐서 꾸짖는 것’이 아닐까.  본디 異民族을 쳐서 잘못을 悔改토록 하는 것을 뜻한다.
  中國은 일찍부터 中華思想에 젖어 바깥은 모두 오랑캐로 보았다.  그래서 所謂 동이(東夷), 서융(西戎), 남만(南蠻), 북적(北狄)이라는 四夷觀이 나타나는데 이 때문에 우리나라도 東夷가 되고 말았다.  이런 고약한 생각은 孟子같은 聖人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그 尺度가 種族이 아닌 文化에 있었던만큼 一端 中國의 文化를 받아들이면 같은 中華로 格上시켜(?) 주었다.
  그러나 끝까지 中國의 文化를 拒否하면 武力으로 쳤는데 그것이 바로 ‘膺懲’이었다.  곧 膺懲은 본디 野蠻人을 罰주는 한 方法이었던 것이 지금에 와서는 ‘못된 者를 치는 것’을 뜻하게 된 것이다.  北韓의 터무니 없는 挑發에 膺懲의 목소리가 높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4 關 鍵 이규 2013.05.14 1547
343 刑罰 이규 2013.02.01 1548
342 窮鼠齧猫 이규 2013.07.17 1548
341 城郭 이규 2012.11.06 1550
340 伯樂一顧 이규 2013.04.07 1553
339 甘呑苦吐 셀라비 2014.11.26 1554
338 管轄 이규 2012.12.20 1556
337 長蛇陣 이규 2013.02.03 1556
336 焦眉 이규 2012.12.05 1569
335 正 鵠 이규 2013.06.02 1572
334 世代 이규 2012.11.13 1573
333 格物致知 이규 2013.04.04 1580
332 行 脚 이규 2013.06.19 1582
331 聖域 이규 2012.11.16 1583
330 雲 雨 셀라비 2013.11.02 1584
329 蜂 起 이규 2013.06.05 1586
328 窺豹一斑 이규 2013.04.14 1587
327 家書萬金 셀라비 2014.11.17 1588
326 烏有先生 이규 2013.06.26 1589
325 家 臣 셀라비 2014.02.24 15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