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318
어제:
433
전체:
765,619

瓦斯

2013.02.12 19:52

이규 조회 수:1576


瓦기와 와
斯이 사


 瓦斯-‘가스’의 일본식 표기

 


  『내 어디로 어떻게 가라는 슬픈 信號機 遮斷(차단)한 등불이 하나 비인 하늘에 걸리어  있다.』  1930년대에 詩人 김광균(金光均)이 發表한 「와사등」(瓦斯燈․가스등)이라는 詩의  一部다.  지금 그 「瓦斯」를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네덜란드어 「gas」를 日本 사람들이 音譯한 日本말이기 때문이다. 中國은 지금도 「가스」를 「瓦斯」라고  한다.
   이처럼 漢字語라고 모두 中國에서 만든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 固有의 單語일 수도  있고, 日本에서 만든 것도 꽤 많다. 經濟나 文化가 그렇고 哲學․物理․民主․科學 등도  例外가 아니다.  이는 우리나 中國보다 먼저 西洋 文物을 받아들인 日本이 自己들 式으로 飜譯해 놓은 말을 韓․中 두 나라가 借用한 結果다.  주지하다시피 日本은 19세기  후반 메이지(明治)유신(維新)이후 西洋學文을 大量으로 收用하게 되는데 이 때 飜譯을 擔當했던 主要 階層은 漢學者들이었다. 이 때문에 專門的인 學術用語는 大部分 漢字로 飜譯하게 되었으며 그것은 자연히 같은 문자권인 韓․中 두 나라로 流入되게 되어  지금에 이른다. 물이 아래로 흐르듯 言語 역시 國力이나 文化의 差異에 따라 電波된다는 점을 볼 때 當然한 現狀이라 하겠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4 破 格 이규 2013.10.07 1892
323 개차반 셀라비 2015.03.27 1889
322 效 嚬 셀라비 2013.10.24 1889
321 妄 言 이규 2013.09.20 1888
320 完璧 셀라비 2014.03.12 1886
319 破 綻 셀라비 2014.02.28 1885
318 부랴부랴 이규 2015.04.13 1883
317 採薇歌 셀라비 2014.09.14 1881
316 回 甲 셀라비 2014.06.19 1880
315 玉石混淆 셀라비 2014.08.20 1879
314 董狐之筆 이규 2013.07.05 1879
313 問 津 이규 2013.10.25 1878
312 黃 砂 이규 2013.07.18 1878
311 蝴蝶夢 셀라비 2013.12.24 1874
310 獨 對 이규 2013.12.08 1874
309 火 箭 이규 2013.08.20 1874
308 寒心 이규 2012.11.10 1874
307 遠交近攻 이규 2013.07.04 1873
306 會 計 이규 2013.08.05 1871
305 馬耳東風 셀라비 2014.06.22 18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