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82
어제:
315
전체:
766,830

瓦斯

2013.02.12 19:52

이규 조회 수:1594


瓦기와 와
斯이 사


 瓦斯-‘가스’의 일본식 표기

 


  『내 어디로 어떻게 가라는 슬픈 信號機 遮斷(차단)한 등불이 하나 비인 하늘에 걸리어  있다.』  1930년대에 詩人 김광균(金光均)이 發表한 「와사등」(瓦斯燈․가스등)이라는 詩의  一部다.  지금 그 「瓦斯」를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네덜란드어 「gas」를 日本 사람들이 音譯한 日本말이기 때문이다. 中國은 지금도 「가스」를 「瓦斯」라고  한다.
   이처럼 漢字語라고 모두 中國에서 만든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 固有의 單語일 수도  있고, 日本에서 만든 것도 꽤 많다. 經濟나 文化가 그렇고 哲學․物理․民主․科學 등도  例外가 아니다.  이는 우리나 中國보다 먼저 西洋 文物을 받아들인 日本이 自己들 式으로 飜譯해 놓은 말을 韓․中 두 나라가 借用한 結果다.  주지하다시피 日本은 19세기  후반 메이지(明治)유신(維新)이후 西洋學文을 大量으로 收用하게 되는데 이 때 飜譯을 擔當했던 主要 階層은 漢學者들이었다. 이 때문에 專門的인 學術用語는 大部分 漢字로 飜譯하게 되었으며 그것은 자연히 같은 문자권인 韓․中 두 나라로 流入되게 되어  지금에 이른다. 물이 아래로 흐르듯 言語 역시 國力이나 文化의 差異에 따라 電波된다는 점을 볼 때 當然한 現狀이라 하겠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4 古色蒼然 셀라비 2015.04.18 2312
443 兒 童 이규 2013.10.09 2299
442 伯牙絶絃 [1] 이규 2013.04.15 2289
441 欲速不達 이규 2013.09.13 2280
440 累卵之危 LeeKyoo 2014.02.02 2275
439 迎 入 [1] 이규 2013.06.18 2271
438 季布一諾 셀라비 2015.01.03 2270
437 南柯一夢 이규 2013.04.11 2268
436 井底之蛙 이규 2013.10.05 2267
435 鷄肋 셀라비 2014.12.17 2265
434 鷄鳴拘吠 셀라비 2014.12.25 2261
433 契酒生面 셀라비 2014.12.18 2260
432 改 革 이규 2013.09.19 2259
431 駭怪罔測 셀라비 2013.08.04 2251
430 한자어의 짜임 - 주술 관계 이규 2012.11.26 2250
429 셀라비 2015.04.02 2241
428 傾國之色 셀라비 2014.12.09 2235
427 조카 이규 2015.04.21 2223
426 겻불 셀라비 2015.04.12 2214
425 總 統 이규 2013.08.19 2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