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847
어제:
257
전체:
762,249

麥丘邑人

2013.02.07 13:46

홍석균 조회 수:3299

麥(보리 맥)丘(언덕 구)邑(고을 읍)人(사람 인)
맥구읍의 사람이란 뜻으로, 현명한 노인을 의미한다.


제나라 환공이 어느 날 맥구라고 하는 산동 지방의 한 시골로 사냥을 나갔다가 우연히 한 노인을 만났다.
노인의 풍모가 참으로 그럴 듯하고 지혜로워 보였으므로, 환공은 수레를 멈추고 대화를 하게 되었다.
"노인장은 고향이 어디요?"
"예, 이 곳 맥구읍입니다."
"연세는 얼마나 되시오?"
"올해 여든 세 살이올시다."
"수복을 타고난 노인이시군.
그대의 장수로써 과인을 축원해 주면 고맙겠구려."
"임금님을 축원합니다.
임금께서는 오래오래 장수하소서.
돈과 옥을 천한 것으로 보시고, 사람을 귀하게 여기소서."
"참 좋은 말씀을 하시는군요.
한 말씀 더 해 주시지요."
"임금님을 축원합니다.
임금께서 배움을 부끄러워하지 않으시고,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싫어하지 않으시게 하소서.
간언하는 자를 항상 곁에 있게 하는 현명한 분이 되게 하소서."
"옳은 말씀이오.
덕스러운 자는 외롭지 않은 법이지요.
한 말씀만 더 해 주시구려."
"임금님을 축원합니다.
임금께서는 신하들과 백성들에게 죄를 짓지 않는 분이 되게 하소서."
지금까지는 흐뭇하던 환공은 이 말에 기분이 상해 안색을 바꾸었다.
"과인은 자식이 아비한테 죄짓고 신하가 군주한테 죄짓는다는 말은 들었어도, 군주가 아랫사람한테 죄짓는다는 얘긴
금시초문이오."
그러자, 노인도 정색을 하고 말했다.
"임금께서는 무슨 말씀을 그렇게 하십니까.
바른 자식이 아비한테 죄를 짓는다면, 그것은 대개 삼촌이나 숙모 때문이니 오해를 풀어 아비가 용서해 줄 수 있고,
바른 신하가 군주한테 죄를 짓는다면, 그것은 주위의 그릇된 신하들 때문이므로 군주는 역시 용서해 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옛날 걸임금이 탕왕에에 망하고 주임금이 무왕에게 주살당한 것은 임금이 신하에게 죄지은 셈이지만 용서를
받지 못했고, 오늘날까지 사면되지도 않았습니다.
이런 경우를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그 말을 듣고서야 환공은 깊이 깨닫는 바가 있었다.
환공은 최대한 공경의 태도로 노인에게 예를 표한 다음, 그를 맥구의 장에 임명하여 다스리도록 하고 귀로에 올랐다고
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신궁이 되는 비결 셀라비 2014.10.01 81312
183 木人石心 홍석균 2013.02.18 3287
182 하늘이 사람에게 복을 주려고 하면 이규 2013.02.18 3370
181 木梗之患 홍석균 2013.02.17 3318
180 矛盾 홍석균 2013.02.16 3319
179 明珠暗投 홍석균 2013.02.15 3225
178 친절을 베푸는 행위에는 결코 낭비라는 게 없다. 이규 2013.02.15 3355
177 明鏡止水 홍석균 2013.02.14 3673
176 성공은 항상 곤궁 다음에 오는 것이다. 이규 2013.02.14 3163
175 面目 홍석균 2013.02.13 3307
174 남의 성공을 도우면 나의 성공이 따라온다. 이규 2013.02.13 3306
173 盲人瞎馬 [1] 홍석균 2013.02.12 3306
172 실패 예찬 이규 2013.02.12 3555
171 孟母三遷 [1] 홍석균 2013.02.11 3530
170 孟母斷機 홍석균 2013.02.10 3233
169 麥舟 홍석균 2013.02.09 3681
168 麥秀之歎 홍석균 2013.02.08 3408
167 스트레스를 즐겨라 이규 2013.02.08 3504
» 麥丘邑人 홍석균 2013.02.07 3299
165 부족함은 포기의 이유가 아니라, 성공의 원인이다. 이규 2013.02.07 3524
164 買死馬骨 홍석균 2013.02.06 3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