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82
어제:
264
전체:
768,570

寸志

2013.02.06 19:42

이규 조회 수:1424


寸 마디 촌
志 뜻 지


 寸志-작은 정성


  寸은 「手」(又․손)밑에 점(′)을 찍어 손목의 特定 部位를 가리키고 있다.  名醫 편작(扁鵲)은 診脈의 達人이었다.  그의 맥서(脈書)에 의하면 손목아래 2~3㎝ 되는 곳이 診脈의 適所다.  이곳을 ‘寸口’ 라고 하는데, 寸은 바로그 ‘寸口’를 가리킨다. 손가락 ‘한 마디’쯤 됐으므로 寸은 ‘마디’도 뜻하게 됐다.
   그런데 자(尺)가 귀했던 옛날에는 身體 部位를 使用해 길이를 재곤 했다. ‘한 뼘’, ‘한 길’, ‘한 발’ 등.  물론 손가락 ‘한 마디’도 자주 사용했다. 대체로 ‘짧은 길이’에 속했으므로 寸은 ‘짧다’는 뜻도 가지게 됐다.  촌각(寸刻)․촌극(寸劇)이니 촌음(寸陰)․촌철살인(寸鐵殺人)등은 모두 그런 뜻을 담고 있다.
  志는 士(선비 사)와 心(마음 심)의 結合인 것처럼 보여 ‘선비의 마음’으로 해석하기 쉽지만 사실은 之(갈 지)와 心의 結合으로 ‘마음이 가는 것’을뜻한다. 마음이 동(動)하는 것,그것은 곧 뜻․의지(意志)가 아닐까.  그래서志는 ‘뜻’이 된다.  지망(志望)․지원(志願)․동지(同志)․의지(意志)․초지일관( 初志一貫)등 많다.
   따라서 촌지(寸志)라면 ‘극히 작은 뜻’이다. ‘작은 정성(精誠)’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대체로 過多하지 않은 謝禮라고 보면 될 것이다. 그럼에도 不具하고 요즘 寸志는 다른 뜻으로 使用되고 있는 것 같다.  一部初等學校에서 敎師의寸志가 問題가 되고 있다는 消息이다.  주는 측에서 負擔을 느낀다면 이미 寸志의 範圍를 벗어난 셈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4 騎虎之勢 이규 2013.04.01 1710
363 野合而生 이규 2013.04.02 1521
362 格物致知 이규 2013.04.04 1674
361 拔苗助長 이규 2013.04.04 1779
360 伯樂一顧 이규 2013.04.07 1643
359 沐浴 [1] 이규 2013.04.08 2001
358 杯中蛇影 이규 2013.04.09 1963
357 南柯一夢 이규 2013.04.11 2283
356 金城湯池 이규 2013.04.12 2850
355 窺豹一斑 이규 2013.04.14 1674
354 伯牙絶絃 [1] 이규 2013.04.15 2307
353 愚公移山 이규 2013.04.16 1743
352 簞食瓢飮 이규 2013.04.17 1580
351 刎頸之交 이규 2013.04.19 1885
350 宋襄之仁 이규 2013.04.20 1801
349 亢龍有悔 이규 2013.04.22 1590
348 君子三樂 이규 2013.04.23 1743
347 水魚之交 이규 2013.04.25 1530
346 一諾千金 이규 2013.04.27 1829
345 奇貨可居 이규 2013.04.29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