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139
어제:
1,101
전체:
763,642

師表

2013.02.04 21:21

이규 조회 수:1610


師스승 사
表겉 표


 師表-학식, 덕행에서 모법이 되는 사람

 


  師는(阜․언덕 부)와 市(잡․두를  잡)의 조합(組合),그러니까 흙을 四方으로  角이 지도록 두부모처럼 쌓아 만든 작은 언덕에서 나온 글자다. 수많은 軍士가 한 將帥  앞에 倒列해 있는 模襲으로, 본디 뜻은 「軍隊」(原來 2천5백명)다.  現在의 사단(師團)․출사표(出師表)의 「師」가 「스승」 아닌 「軍隊」를 뜻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後에 軍卒이 한 將帥 麾下에 몰려 있듯 많은 弟子가 스승 밑에 모여있다 하여 「스승」으로 전용(轉用)되었다. 사범(師範)․사부(師傅)․ 사사(師事)․사제(師弟)․교사(敎師)․은사(恩師)가 있다.
  表는 毛(털 모)와  衣(옷 의)의 結合으로 「털옷」,우리말로는 「갖옷」이다. 外套(외투)처럼 늘 바깥에 입었으므로 表는 「겉」을 뜻하게도 되었다. 표리부동(表裏同)․표명(表明)․표창(表彰)․ 표현(表現)이 있다. 參考로 속 옷을 설(猥),옷 속을 리(裏)라고 한다.
  師表는 사법표솔(師法表率)의 省略으로 學識과 人格이 높아 남의 模範이 될만한 사람을 일컫는다. 귀감(龜鑑)과 같은 뜻이다 . 이 말을 처음 使用한 이는 사마천(司馬遷)이다. 그는 『사기(史記)』「자서(自序)」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漢  나라에 현상(賢相․현명한 재상)과 양장(良將․훌륭한 장수)이 있으면 百姓의 師表로 삼을 수 있다」.
  中國 最初로 平民敎育을 擔當했던 이는 孔子다. 그래서 後世 사람들은 그를 東洋 最初의 「스승」이자 만세(萬世)의 師表로 尊敬하고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 至孝 이규 2012.10.29 1966
103 疑心暗鬼 셀라비 2014.08.31 1974
102 發祥地 이규 2013.10.20 1976
101 개개다(개기다) 셀라비 2015.03.27 1983
100 改 閣 이규 2013.08.26 1985
99 苦 杯 이규 2013.08.03 1991
98 孤軍奮鬪 셀라비 2015.03.27 1994
97 人 倫 이규 2013.07.29 1995
96 三寸舌 셀라비 2014.01.24 1995
95 問 鼎 이규 2013.11.23 1997
94 高麗公事三日 셀라비 2015.04.02 2001
93 危機一髮 이규 2013.10.18 2009
92 文 獻 셀라비 2014.03.03 2012
91 犬馬之養 셀라비 2014.12.04 2012
90 사리 셀라비 2015.04.18 2013
89 泣斬馬謖 이규 2013.10.28 2017
88 鷄鳴狗盜 셀라비 2014.12.19 2021
87 兼人之勇 셀라비 2014.12.08 2024
86 한자어의 연관성(聯關性) [2] 이규 2012.12.08 2032
85 千字文 이규 2013.10.12 2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