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05
어제:
1,101
전체:
763,408

한자 口舌數

2014.03.14 20:55

셀라비 조회 수:1650

口舌數

 

말을 잘못해 곤욕에 빠짐

 

中國 사람들 만큼 말을 重視했던 民族도 드물다. 不朽方法중에 말을 세우는 것(立言)이 있을 정도다. 그래서 聖人들은 누구나 立言을 위해 勞力했다. 과연論語를 펴보면 첫머리부터이 나온다. 孔子께서 말씀하시기를…』(子曰).

中國에서 말은 富貴榮華生死與奪決定할 만큼 엄청난 威力을 지니고 있었다. 사실 諸子百家遊說말의 성찬(盛饌)에 지나지 않는다. 말과 함께 重視되었던 것이 세치 혀(三寸舌). 張儀는 세치 혀로 一躍 出世를 할 수 있었지만, 司馬遷은 혀를 잘못 놀려 宮刑恥辱을 맛보아야 했고, 韓非子는 혀가 敏捷하지 못해 死藥을 받고 죽었다. 말은 듣는 것보다 하는 것이 더 重要함을 일깨워 준다.

말을 잘못해 困辱을 당하는 運數口舌數. 周易에서 兌卦(태괘)口舌女子同時에 뜻한다. 예나 지금이나 아무래도 수다스러운 것은 女子였던 模樣이다. 특히 女子가 말이 많은 것은 禁物七出(七去之惡)의 하나가 되기도했다. 男子境遇도 마찬가지다. 男兒一言 重千金이란 말이 있다. 적어도 男子의 한 마디 말은 千金의 무게와 價値를 지녀야 한다는 뜻일 게다. 社會 指導層이거나 公人位置에 있다면 더 말할 나위가 없겠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4 杞 憂 셀라비 2014.06.05 1510
363 壽則多辱 셀라비 2014.08.21 1510
362 擧足輕重 이규 2013.03.01 1511
361 前 轍 이규 2013.06.24 1511
360 亢龍有悔 이규 2013.04.22 1512
359 傾 聽 이규 2013.07.03 1512
358 乾木水生 셀라비 2014.11.30 1513
357 有備無患 이규 2012.11.12 1516
356 所聞 이규 2013.02.01 1517
355 觀 察 셀라비 2014.03.28 1517
354 慢慢的 이규 2012.11.15 1520
353 菽麥 이규 2013.02.02 1520
352 居安思危 이규 2013.03.26 1521
351 盲人摸象 이규 2013.02.25 1523
350 肝膽相照 [1] 셀라비 2014.11.23 1524
349 瓦斯 이규 2013.02.12 1525
348 守株待兎 이규 2013.03.29 1526
347 墨翟之守 셀라비 2014.10.25 1529
346 出 馬 이규 2013.06.04 1533
345 秋霜 이규 2013.02.04 1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