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99
어제:
1,101
전체:
763,502

菽麥

2013.02.02 20:45

이규 조회 수:1525


菽麥콩 숙
菽麥보리 맥

 

 菽麥-콩과 보리 조차 구별 못하는 우둔한   사람


  콩을 뜻하는 菽자는 본디 叔이라 했다.  콩을 뽑기 위해 손으로 쥐고 있는 模襲에서 나온 글자다.  그런데 후에는 叔자가 叔父, 叔母의 뜻으로 轉用되었으므로 하는 수 없이 콩을 뜻하는 글자를 새로 만들게 되었는데 그것이 菽자이다.
  한편 麥은 來자와 비슷하게 생겼음을 알 수 있다.  事實 본디 보리는 來라고 했다.  後에 來자가 다시 往來, 將來 등 ‘오다’라는 뜻으로 轉用되자 새로 麥자를 만들었다.  麥은 來에 久를 더한 것으로 久는 ‘느리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보리는 여느 곡식과는 달리 成長期間이 길다.  즉 가을에 심어 겨울을 나서 이듬해 여름에 거둔다.  이처럼 천천히 자랐으므로 久자를 덧붙인 것이다.
  위에서 보듯 菽麥이라면 ‘콩과 보리’를 뜻하는 말이다.  둘 다 밭에다가 심는 점에서 같지만 생긴 模樣이나 낟알의 模樣이 전혀 다르다.  따라서 누구나 그 程度는 區別할 줄 안다.  따라서 그것도 區別 못하는 사람이라면 問題가 많은 사람이라 하겠다.  그래서 菽麥이라면 ‘콩과 보리 조차 區別 못하는 사람’ 이라는 뜻으로 바보, 愚鈍한 者를 뜻하게 되었다.  漢字로는 숙맥불변(菽麥不辨-콩과 보리 조차 구별 못함)이라고 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4 露 骨 이규 2013.05.29 1242
163 淘 汰 이규 2013.05.28 1592
162 鷄鳴拘盜 이규 2013.05.27 1623
161 百年河淸 이규 2013.05.26 1398
160 亡牛補牢 이규 2013.05.24 1352
159 西 方 이규 2013.05.23 1516
158 骨肉相爭 이규 2013.05.22 1268
157 他山之石 이규 2013.05.21 1464
156 分 野 이규 2013.05.20 1325
155 干 支 이규 2013.05.19 1320
154 白髮三千丈 이규 2013.05.17 1484
153 刮目相對 이규 2013.05.16 1380
152 喪家之狗 이규 2013.05.15 1388
151 關 鍵 이규 2013.05.14 1546
150 尾生之信 이규 2013.05.13 1936
149 匹夫之勇 이규 2013.05.11 1446
148 水落石出 이규 2013.05.10 1719
147 指鹿爲馬 이규 2013.05.09 1260
146 輾轉反側 이규 2013.05.08 1191
145 應接不暇 이규 2013.05.08 14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