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33
어제:
284
전체:
767,351

菽麥

2013.02.02 20:45

이규 조회 수:1588


菽麥콩 숙
菽麥보리 맥

 

 菽麥-콩과 보리 조차 구별 못하는 우둔한   사람


  콩을 뜻하는 菽자는 본디 叔이라 했다.  콩을 뽑기 위해 손으로 쥐고 있는 模襲에서 나온 글자다.  그런데 후에는 叔자가 叔父, 叔母의 뜻으로 轉用되었으므로 하는 수 없이 콩을 뜻하는 글자를 새로 만들게 되었는데 그것이 菽자이다.
  한편 麥은 來자와 비슷하게 생겼음을 알 수 있다.  事實 본디 보리는 來라고 했다.  後에 來자가 다시 往來, 將來 등 ‘오다’라는 뜻으로 轉用되자 새로 麥자를 만들었다.  麥은 來에 久를 더한 것으로 久는 ‘느리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보리는 여느 곡식과는 달리 成長期間이 길다.  즉 가을에 심어 겨울을 나서 이듬해 여름에 거둔다.  이처럼 천천히 자랐으므로 久자를 덧붙인 것이다.
  위에서 보듯 菽麥이라면 ‘콩과 보리’를 뜻하는 말이다.  둘 다 밭에다가 심는 점에서 같지만 생긴 模樣이나 낟알의 模樣이 전혀 다르다.  따라서 누구나 그 程度는 區別할 줄 안다.  따라서 그것도 區別 못하는 사람이라면 問題가 많은 사람이라 하겠다.  그래서 菽麥이라면 ‘콩과 보리 조차 區別 못하는 사람’ 이라는 뜻으로 바보, 愚鈍한 者를 뜻하게 되었다.  漢字로는 숙맥불변(菽麥不辨-콩과 보리 조차 구별 못함)이라고 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4 曲學阿世 이규 2013.10.10 2566
263 兒 童 이규 2013.10.09 2309
262 婚 姻 이규 2013.10.08 2878
261 破 格 이규 2013.10.07 1906
260 百 姓 이규 2013.10.06 2166
259 井底之蛙 이규 2013.10.05 2272
258 鵬程萬里 이규 2013.10.03 1706
257 浩然之氣 셀라비 2013.10.02 2545
256 邯鄲之夢 셀라비 2013.10.01 2143
255 屋上架屋 셀라비 2013.09.30 3192
254 國 語 이규 2013.09.29 2464
253 廣 告 이규 2013.09.28 3679
252 犬馬之心 이규 2013.09.27 2100
251 非 理 이규 2013.09.26 1836
250 紛 糾 이규 2013.09.25 2126
249 幾 何 이규 2013.09.24 2335
248 敎 育 이규 2013.09.23 2152
247 天安門 이규 2013.09.22 1867
246 妄 言 이규 2013.09.20 1909
245 改 革 이규 2013.09.19 2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