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54
어제:
257
전체:
762,456

菽麥

2013.02.02 20:45

이규 조회 수:1500


菽麥콩 숙
菽麥보리 맥

 

 菽麥-콩과 보리 조차 구별 못하는 우둔한   사람


  콩을 뜻하는 菽자는 본디 叔이라 했다.  콩을 뽑기 위해 손으로 쥐고 있는 模襲에서 나온 글자다.  그런데 후에는 叔자가 叔父, 叔母의 뜻으로 轉用되었으므로 하는 수 없이 콩을 뜻하는 글자를 새로 만들게 되었는데 그것이 菽자이다.
  한편 麥은 來자와 비슷하게 생겼음을 알 수 있다.  事實 본디 보리는 來라고 했다.  後에 來자가 다시 往來, 將來 등 ‘오다’라는 뜻으로 轉用되자 새로 麥자를 만들었다.  麥은 來에 久를 더한 것으로 久는 ‘느리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보리는 여느 곡식과는 달리 成長期間이 길다.  즉 가을에 심어 겨울을 나서 이듬해 여름에 거둔다.  이처럼 천천히 자랐으므로 久자를 덧붙인 것이다.
  위에서 보듯 菽麥이라면 ‘콩과 보리’를 뜻하는 말이다.  둘 다 밭에다가 심는 점에서 같지만 생긴 模樣이나 낟알의 模樣이 전혀 다르다.  따라서 누구나 그 程度는 區別할 줄 안다.  따라서 그것도 區別 못하는 사람이라면 問題가 많은 사람이라 하겠다.  그래서 菽麥이라면 ‘콩과 보리 조차 區別 못하는 사람’ 이라는 뜻으로 바보, 愚鈍한 者를 뜻하게 되었다.  漢字로는 숙맥불변(菽麥不辨-콩과 보리 조차 구별 못함)이라고 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4 蹴 鞠 이규 2013.07.16 1994
403 한자어의 연관성(聯關性) [2] 이규 2012.12.08 1990
402 兼人之勇 셀라비 2014.12.08 1985
401 천둥벌거숭이 셀라비 2015.05.02 1983
400 持 滿 이규 2013.11.28 1983
399 犬馬之心 이규 2013.09.27 1981
398 千字文 이규 2013.10.12 1977
397 鷄鳴狗盜 셀라비 2014.12.19 1969
396 犬馬之養 셀라비 2014.12.04 1964
395 泣斬馬謖 이규 2013.10.28 1961
394 사리 셀라비 2015.04.18 1955
393 文 獻 셀라비 2014.03.03 1954
392 危機一髮 이규 2013.10.18 1945
391 孤軍奮鬪 셀라비 2015.03.27 1943
390 人 倫 이규 2013.07.29 1943
389 改 閣 이규 2013.08.26 1938
388 問 鼎 이규 2013.11.23 1937
387 苦 杯 이규 2013.08.03 1936
386 高麗公事三日 셀라비 2015.04.02 1933
385 三寸舌 셀라비 2014.01.24 1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