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305
어제:
1,186
전체:
763,994

菽麥

2013.02.02 20:45

이규 조회 수:1544


菽麥콩 숙
菽麥보리 맥

 

 菽麥-콩과 보리 조차 구별 못하는 우둔한   사람


  콩을 뜻하는 菽자는 본디 叔이라 했다.  콩을 뽑기 위해 손으로 쥐고 있는 模襲에서 나온 글자다.  그런데 후에는 叔자가 叔父, 叔母의 뜻으로 轉用되었으므로 하는 수 없이 콩을 뜻하는 글자를 새로 만들게 되었는데 그것이 菽자이다.
  한편 麥은 來자와 비슷하게 생겼음을 알 수 있다.  事實 본디 보리는 來라고 했다.  後에 來자가 다시 往來, 將來 등 ‘오다’라는 뜻으로 轉用되자 새로 麥자를 만들었다.  麥은 來에 久를 더한 것으로 久는 ‘느리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보리는 여느 곡식과는 달리 成長期間이 길다.  즉 가을에 심어 겨울을 나서 이듬해 여름에 거둔다.  이처럼 천천히 자랐으므로 久자를 덧붙인 것이다.
  위에서 보듯 菽麥이라면 ‘콩과 보리’를 뜻하는 말이다.  둘 다 밭에다가 심는 점에서 같지만 생긴 模樣이나 낟알의 模樣이 전혀 다르다.  따라서 누구나 그 程度는 區別할 줄 안다.  따라서 그것도 區別 못하는 사람이라면 問題가 많은 사람이라 하겠다.  그래서 菽麥이라면 ‘콩과 보리 조차 區別 못하는 사람’ 이라는 뜻으로 바보, 愚鈍한 者를 뜻하게 되었다.  漢字로는 숙맥불변(菽麥不辨-콩과 보리 조차 구별 못함)이라고 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4 管轄 이규 2012.12.20 1572
143 墨翟之守 셀라비 2014.10.25 1569
142 窮鼠齧猫 이규 2013.07.17 1569
141 刑罰 이규 2013.02.01 1569
140 關 鍵 이규 2013.05.14 1568
139 出 馬 이규 2013.06.04 1567
138 秋霜 이규 2013.02.04 1567
137 守株待兎 이규 2013.03.29 1566
136 城郭 이규 2012.11.06 1563
135 居安思危 이규 2013.03.26 1559
134 壽則多辱 셀라비 2014.08.21 1555
133 盲人摸象 이규 2013.02.25 1553
132 肝膽相照 [1] 셀라비 2014.11.23 1552
131 瓦斯 이규 2013.02.12 1548
130 所聞 이규 2013.02.01 1547
» 菽麥 이규 2013.02.02 1544
128 乾木水生 셀라비 2014.11.30 1544
127 杞 憂 셀라비 2014.06.05 1544
126 擧足輕重 이규 2013.03.01 1542
125 前 轍 이규 2013.06.24 15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