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65
어제:
257
전체:
762,467

菽麥

2013.02.02 20:45

이규 조회 수:1504


菽麥콩 숙
菽麥보리 맥

 

 菽麥-콩과 보리 조차 구별 못하는 우둔한   사람


  콩을 뜻하는 菽자는 본디 叔이라 했다.  콩을 뽑기 위해 손으로 쥐고 있는 模襲에서 나온 글자다.  그런데 후에는 叔자가 叔父, 叔母의 뜻으로 轉用되었으므로 하는 수 없이 콩을 뜻하는 글자를 새로 만들게 되었는데 그것이 菽자이다.
  한편 麥은 來자와 비슷하게 생겼음을 알 수 있다.  事實 본디 보리는 來라고 했다.  後에 來자가 다시 往來, 將來 등 ‘오다’라는 뜻으로 轉用되자 새로 麥자를 만들었다.  麥은 來에 久를 더한 것으로 久는 ‘느리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보리는 여느 곡식과는 달리 成長期間이 길다.  즉 가을에 심어 겨울을 나서 이듬해 여름에 거둔다.  이처럼 천천히 자랐으므로 久자를 덧붙인 것이다.
  위에서 보듯 菽麥이라면 ‘콩과 보리’를 뜻하는 말이다.  둘 다 밭에다가 심는 점에서 같지만 생긴 模樣이나 낟알의 模樣이 전혀 다르다.  따라서 누구나 그 程度는 區別할 줄 안다.  따라서 그것도 區別 못하는 사람이라면 問題가 많은 사람이라 하겠다.  그래서 菽麥이라면 ‘콩과 보리 조차 區別 못하는 사람’ 이라는 뜻으로 바보, 愚鈍한 者를 뜻하게 되었다.  漢字로는 숙맥불변(菽麥不辨-콩과 보리 조차 구별 못함)이라고 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4 應接不暇 이규 2013.05.08 1417
403 三十六計 셀라비 2014.10.30 1420
402 匹夫之勇 이규 2013.05.11 1423
401 他山之石 이규 2013.05.21 1425
400 鐵面皮 셀라비 2014.09.12 1425
399 囊中之錐 이규 2012.11.26 1427
398 患難相恤 이규 2013.03.02 1427
397 要領不得 셀라비 2014.08.28 1428
396 割據 셀라비 2012.11.09 1430
395 兩立 이규 2012.12.13 1436
394 妥結 이규 2012.12.02 1437
393 月下老人 이규 2013.03.28 1440
392 封套 이규 2012.11.19 1441
391 臨機應變 [1] 이규 2013.06.13 1443
390 道不拾遺 이규 2013.02.27 1444
389 白髮三千丈 이규 2013.05.17 1444
388 景福 셀라비 2012.10.31 1449
387 安貧樂道 이규 2013.03.25 1450
386 跛行 이규 2013.03.18 1453
385 民心 이규 2012.12.09 14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