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33
어제:
296
전체:
767,933

菽麥

2013.02.02 20:45

이규 조회 수:1595


菽麥콩 숙
菽麥보리 맥

 

 菽麥-콩과 보리 조차 구별 못하는 우둔한   사람


  콩을 뜻하는 菽자는 본디 叔이라 했다.  콩을 뽑기 위해 손으로 쥐고 있는 模襲에서 나온 글자다.  그런데 후에는 叔자가 叔父, 叔母의 뜻으로 轉用되었으므로 하는 수 없이 콩을 뜻하는 글자를 새로 만들게 되었는데 그것이 菽자이다.
  한편 麥은 來자와 비슷하게 생겼음을 알 수 있다.  事實 본디 보리는 來라고 했다.  後에 來자가 다시 往來, 將來 등 ‘오다’라는 뜻으로 轉用되자 새로 麥자를 만들었다.  麥은 來에 久를 더한 것으로 久는 ‘느리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보리는 여느 곡식과는 달리 成長期間이 길다.  즉 가을에 심어 겨울을 나서 이듬해 여름에 거둔다.  이처럼 천천히 자랐으므로 久자를 덧붙인 것이다.
  위에서 보듯 菽麥이라면 ‘콩과 보리’를 뜻하는 말이다.  둘 다 밭에다가 심는 점에서 같지만 생긴 模樣이나 낟알의 模樣이 전혀 다르다.  따라서 누구나 그 程度는 區別할 줄 안다.  따라서 그것도 區別 못하는 사람이라면 問題가 많은 사람이라 하겠다.  그래서 菽麥이라면 ‘콩과 보리 조차 區別 못하는 사람’ 이라는 뜻으로 바보, 愚鈍한 者를 뜻하게 되었다.  漢字로는 숙맥불변(菽麥不辨-콩과 보리 조차 구별 못함)이라고 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4 標 榜 이규 2013.08.10 1998
123 竹馬故友 셀라비 2014.10.17 1998
122 大公無私 이규 2013.10.16 2002
121 단골집 셀라비 2015.03.30 2004
120 鼓腹擊壤 이규 2015.04.13 2008
119 不忍之心 이규 2013.07.13 2011
118 尾生之信 이규 2013.05.13 2015
117 景福宮 셀라비 2012.10.28 2017
116 伏地不動 셀라비 2013.10.30 2023
115 至孝 이규 2012.10.29 2025
114 誣 告 이규 2013.07.24 2028
113 七縱七擒 이규 2013.06.06 2029
112 執牛耳 이규 2013.11.15 2030
111 성어(成語),고사(故事) 이규 2012.12.08 2032
110 狐假虎威 이규 2013.10.11 2035
109 犬馬之勞 셀라비 2014.12.03 2036
108 季札掛劍 셀라비 2014.12.28 2036
107 賞 春 이규 2013.08.15 2046
106 靑 春 [1] 셀라비 2014.04.28 2048
105 發祥地 이규 2013.10.20 2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