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71
어제:
783
전체:
770,131

園頭幕

2013.02.02 20:43

이규 조회 수:1463


園 동산 원
頭 머리 두
園 초막 막

 

 園頭幕-과일을 지키기 위한 농막


  園은 울타리(口)안에 치렁거리는(袁-치렁거리는 옷 원)열매가 있는 模襲으로 과일 밭, 꽃밭을 뜻한다.  公園, 果樹園, 田園, 花園이 있다.
  頭는 豆(제기 두)와 頁(머리 혈)의 結合인데 祭器 自體가 사람 머리와 비슷했으므로 ‘머리’라는 뜻을 가지게 되었다.  곧 頭는 머리다. 頭腦, 頭痛, 街頭, 先頭, 出頭가 있다.
  幕은 莫의 變形으로 해(日)가 풀숲사이에 있는 形狀으로 해가 西山에 지는 模襲으로  뜻은 ‘어둡다’이다.  後에 ‘禁止’의 뜻으로 轉用되어 日을 덧붙여 暮(저물 모)를 만들게 되었다.
  그러므로 幕은 ‘수건으로 가려 어둡게 한다’는 뜻으로 天幕이나 揮帳을 뜻한다.  幕間, 幕舍, 開幕, 農幕, 銀幕, 閉幕, 黑幕이 있다.
  參考로 어두운 땅(土)이 墓(무덤 묘), 해가 질 때 放牧했던 소나 염소를 힘껏(力) 불러 모으는 것이 募(모집할 모), 임생각에 다른 것은 컴컴해 지는 것이 慕(사모할 모)다.
  園頭幕은 ‘園頭(과일)을 위해 친 幕’이라는 뜻이다.  사과나 배, 참외 따위를 園頭로 表現한 우리 祖上의 재치가 돋보인다.  순수 우리말 같지만 漢字가 우리 生活과 密接하다는 證據다.  園頭幕은 보기만 해도 시원스럽고 浪漫이 넘친다.  이 여름이 가기 전에 校外의 園頭幕이라도 찿아야 할 것 같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4 竹馬故友 셀라비 2014.10.17 2051
363 尾生之信 이규 2013.05.13 2050
362 沐浴 [1] 이규 2013.04.08 2044
361 道 路 이규 2013.08.17 2043
360 大公無私 이규 2013.10.16 2042
359 標 榜 이규 2013.08.10 2041
358 孤立無援 셀라비 2015.04.12 2038
357 大器晩成 이규 2013.10.22 2037
356 雲 集 이규 2013.08.09 2033
355 席 捲 이규 2013.05.31 2032
354 奇貨可居 이규 2013.04.29 2029
353 淸 貧 yikyoo 2014.06.15 2027
352 知 音 셀라비 2014.03.24 2025
351 花 信 셀라비 2013.08.02 2021
350 幣 帛 이규 2013.10.13 2017
349 櫛 比 이규 2013.08.08 2017
348 猪 突 이규 2013.11.27 2013
347 奇蹟 이규 2012.12.06 2011
346 五十笑百 이규 2013.09.11 2009
345 審判 이규 2012.10.30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