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70
어제:
257
전체:
762,472

한자 復 古

2014.03.04 20:26

셀라비 조회 수:2233

復 古

돌아올

 

 

옛 것을 되살림

 

 

孔子는 매우 混亂時代에 태어났다. 그는 왜 天下가 이렇게 混亂한지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結論은 다들 職分을 지키지 않고 分數넘치게 行動했기 때문이라는 것이었다. 그래서 그는 强調했다. 분수를 지키자!』

하지만 말로만 해서는 說得力이 없을 것 같아 모델을 提示해야 겠다고 생각했다. 바로 나라 初期에 그런 時代가 있었음을 發見했다. 職分을 잘 지켜 太平聖代가 되었던 時代였다. 그러나 그것은 그로부터 무려 5백여년 전이었다. 그런 다음 그는 그때가 좋았다며 그때로 돌아가자고 외쳤다. 孔子에게 있어 그때는 옛날이여였던 셈이다. 이처럼 過去를 하나의 모델로 삼고 그때로 돌아가자고 主張하는 것이復古.

그의 主張 중에는 좋은 것도 많다. 禮義孝道勉學등등. 그러나 復古만은 좀 困難하다. 歷史의 수레바퀴를 무려 백년이나 거꾸로 돌려 놓다니. 그의 影響으로 우리는 過去 志向的이다. 그래서 옛 것이면 무조건 좋다고 느낀다. 그러나 생각해 볼 일이다. 新羅時代아니 朝鮮時代電氣가 있었으며 컴퓨터가 있었단 말인가. 3第一 먼저 復古의 멍에를 벗어던진 日本이가장 앞선 나라가 되었다는 事實을 알 필요가 있다. 물론 옛 것이라도 좋은 것은 잊지 말아야 겠지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4 發祥地 이규 2013.10.20 1932
383 靑 春 [1] 셀라비 2014.04.28 1932
382 至孝 이규 2012.10.29 1928
381 개개다(개기다) 셀라비 2015.03.27 1926
380 한자어의 짜임 - 수식 관계 이규 2012.11.25 1926
379 狐假虎威 이규 2013.10.11 1915
378 疑心暗鬼 셀라비 2014.08.31 1914
377 快 擧 이규 2013.07.21 1914
376 賞 春 이규 2013.08.15 1913
375 犬馬之勞 셀라비 2014.12.03 1908
374 尾生之信 이규 2013.05.13 1906
373 七縱七擒 이규 2013.06.06 1902
372 景福宮 셀라비 2012.10.28 1899
371 伏地不動 셀라비 2013.10.30 1895
370 奇貨可居 이규 2013.04.29 1892
369 성어(成語),고사(故事) 이규 2012.12.08 1892
368 沐浴 [1] 이규 2013.04.08 1891
367 季札掛劍 셀라비 2014.12.28 1889
366 執牛耳 이규 2013.11.15 1880
365 奇蹟 이규 2012.12.06 18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