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95
어제:
1,101
전체:
763,498

刑罰

2013.02.01 20:45

이규 조회 수:1546

 

刑 형벌 형
罰 벌줄 벌


刑罰- 죄를 벌줌

 


  刑은 우물 정(井)과 칼 도(刀)의 結合이다.  井은 우물위에 가로나 세로로 얽어 놓은 나무를 본떠 만든 글자다.  一定한 方向으로 한 치의 誤差도 없이 얹음으로써 우물이 무너지거나 사람이 빠지는 것을 防止했다.  따라서 井자는 그 自體로서 하나의 法則, 規範을 뜻한다.  또 우물에는 늘 많은 사람들로 북적대곤 했는데 그럴수록 讓步와 秩序가 重要했다.  곧 예로부터 우물은 ‘法’의 象徵이기도 했다.  우물(法)에서 秩序를 어기면 안되듯이 法을 어기면 엄한 罰(刀)을 준다는 뜻에서 ‘刀’를 덧붙인 것이 刑자다.  칼은 예로부터 威嚴과 刑罰을 象徵했기 때문이다.
  한편 罰은 그물 망(網)과 말씀 언(言), 칼 도(刀)의 結合이다.  여기서 網은 옛날 罪囚를 護送할 때 머리위에 씌웠던 그물, 곧 ‘용수’를 뜻한다.  사람이란 잘못(非)하면 용수틀(網)을 뒤집어 쓰게 되는데 그것이 罪다.  용수를 씌운 罪囚를 잡아다 칼(刀)로 威脅은 하되 말(言)로 꾸짖는 것이 罰이다.  따라서 直接 칼을 휘두르는 刑보다는 좀 가벼운 罪를 犯했을 境遇다.
  이제 刑과 罰의 區別이 可能해 진다.  刑은  重罪를 다스리는 方法으로 直接 身體에 危害를 가하는 경우다.  그래서 極刑이니 死刑이라는 말이 있다.  그러나 罰은 지금의 輕犯罪에 該當되어 金品으로 贖罪(속죄)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그래서 罰金이란 말이 있다.  이렇게 본다면 ‘嚴罰에 處한다’는 表現은 무리가 있다.  대신 嚴刑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4 露 骨 이규 2013.05.29 1242
163 淘 汰 이규 2013.05.28 1590
162 鷄鳴拘盜 이규 2013.05.27 1622
161 百年河淸 이규 2013.05.26 1398
160 亡牛補牢 이규 2013.05.24 1350
159 西 方 이규 2013.05.23 1516
158 骨肉相爭 이규 2013.05.22 1268
157 他山之石 이규 2013.05.21 1463
156 分 野 이규 2013.05.20 1324
155 干 支 이규 2013.05.19 1320
154 白髮三千丈 이규 2013.05.17 1484
153 刮目相對 이규 2013.05.16 1380
152 喪家之狗 이규 2013.05.15 1388
151 關 鍵 이규 2013.05.14 1546
150 尾生之信 이규 2013.05.13 1936
149 匹夫之勇 이규 2013.05.11 1446
148 水落石出 이규 2013.05.10 1716
147 指鹿爲馬 이규 2013.05.09 1259
146 輾轉反側 이규 2013.05.08 1190
145 應接不暇 이규 2013.05.08 14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