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147
어제:
1,101
전체:
763,650

한자 文 獻

2014.03.03 20:25

셀라비 조회 수:2015

文 獻

글월

드릴

 

 

사실을 기록한 자료

 

 

孔子政治에 무척 關心이 많았던 사람이었다. 그가 挫折을 겪지 않았다면 아마도 훌륭한 政治家로 남게 되었을지도 모른다. 그의 理想나라 初期로 돌아가는 것(復古)이었으며, 그의 偶像은 그 때의 文王武王이었다.

그런데 文化란 면면히 이어져 내려오는 것이다. 아무리 나라의 文化燦爛했다한들 그 根源이 되는 文化가 세웠다는 ()이 세웠다는 文化가 없었다면 可能했을까. 나라는 단지 그 文化繼承했을 뿐이라고 여겼다. 그래서 文化를 알고 싶었는데 不幸하게도 그럴 수 없는 것이 안타까웠다. 時代가 너무 오래되어 그것을 證明해 줄만한 遺物들이 남아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는 恨歎하듯이 말했다. 文獻不足하구나!』 지금은 文獻이라면 주로 을 말하는데, 엄밀히 따지면 은 다르다. 朱子說明에 의하면 現在文獻과 같은 뜻이며賢人을 뜻했다. 은 둘 다 시엔으로 中國 發音으로는 같다. 으로서 훌 륭한 사람意味한다.

그렇다면 事實記錄資料로서 책이나 그림을 말하며은 같은 記錄이되 賢人들의 批評이나 記憶記錄한 것을 말한다. 人的資料인셈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4 不俱戴天 이규 2013.04.30 1408
343 覆水難收 이규 2013.05.02 1317
342 曲肱之樂 이규 2013.05.03 3246
341 山陰乘興 [1] 이규 2013.05.06 1709
340 應接不暇 이규 2013.05.08 1449
339 輾轉反側 이규 2013.05.08 1210
338 指鹿爲馬 이규 2013.05.09 1273
337 水落石出 이규 2013.05.10 1730
336 匹夫之勇 이규 2013.05.11 1461
335 尾生之信 이규 2013.05.13 1955
334 關 鍵 이규 2013.05.14 1560
333 喪家之狗 이규 2013.05.15 1396
332 刮目相對 이규 2013.05.16 1388
331 白髮三千丈 이규 2013.05.17 1503
330 干 支 이규 2013.05.19 1339
329 分 野 이규 2013.05.20 1332
328 他山之石 이규 2013.05.21 1481
327 骨肉相爭 이규 2013.05.22 1275
326 西 方 이규 2013.05.23 1526
325 亡牛補牢 이규 2013.05.24 13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