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161
어제:
1,101
전체:
763,664

解體

2013.01.31 20:03

이규 조회 수:1079

 

解풀 해
體몸 체


解體- 몸체를 풀어 헤쳐 뜯어냄

 


  解는 칼(刀)로 소(牛)의 뿔(角)을 자르는데서 나온 글자로 ‘소를 잡다’는 뜻이다.  그것은 몸의 각 부분을 풀어 헤치는 것과 같으므로 ‘풀다’는 뜻을 가지게 되었다.  解決, 解答, 解放, 解釋, 分解, 誤解 등 많다.
  莊子에 나오는 포정(苞丁)은 文惠君의 廚房長으로 소를 잡는데 達人의 境地에 든 사람이었다.  무려 19년간이나 소를 잡아 눈으로 보지 않고 마음으로 잡으며 뼈마디를 건드리지 않고 틈새로 칼날을 놀리므로 그동안 한번도 칼을 갈지 않았을 정도다.  莊子는 소잡는 것을 ‘解牛’라고 表現했다.
  體는 骨(뼈 골)과 豊(풍성할 풍)의 結合이다.  豊은 祭器위에 가득 담긴 祭物의 模襲으로 ‘豊富하다, 具備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곧 體는 ‘뼈가 充分히 갖추었다’는 뜻이 된다.  옛 사람들은 우리 人體를 12部分으로 나누었는데 하나같이 뼈에 連結되어 있다고 믿었다.  곧 體는 본디 人體를 뜻했는데 後에 오면 動物, 事物의 몸체도 뜻하게 되었다.  體軀, 體力, 體育, 物體, 身體, 全體, 形體 등 많다.
  따라서 解體라면 소를 잡듯 ‘몸체를 풀어 헤친다’는 뜻이 된다.  지금은 ‘뜯어내다’는 뜻으로 使用하고 있다.  옛 朝鮮總督府 建物이 解體, 撤去되어 歷史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되었다.  贊反 與論이 있지만 이를 契機로 民族 精氣는 물론 다시 한번 國權의 所重함을 認識해야 할 것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4 採薇歌 셀라비 2014.09.14 1836
403 鐵面皮 셀라비 2014.09.12 1480
402 靑出於藍 셀라비 2014.09.01 1866
401 疑心暗鬼 셀라비 2014.08.31 1978
400 枕流漱石 셀라비 2014.08.30 1426
399 要領不得 셀라비 2014.08.28 1495
398 壽則多辱 셀라비 2014.08.21 1551
397 玉石混淆 셀라비 2014.08.20 1838
396 矛 盾 셀라비 2014.08.19 1537
395 麥秀之嘆 셀라비 2014.08.17 1873
394 泰山北斗 셀라비 2014.08.16 1788
393 亡國之音 셀라비 2014.08.15 1428
392 偕老同穴 이규 2014.08.12 1522
391 螢雪之功 셀라비 2014.07.23 1742
390 華胥之夢 셀라비 2014.07.22 1652
389 輓 歌 셀라비 2014.07.15 1865
388 得壟望蜀 셀라비 2014.07.14 1729
387 杜 撰 셀라비 2014.07.10 1658
386 獨眼龍 셀라비 2014.07.05 1662
385 投 抒 셀라비 2014.07.03 16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