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898
어제:
1,101
전체:
763,401

解體

2013.01.31 20:03

이규 조회 수:1074

 

解풀 해
體몸 체


解體- 몸체를 풀어 헤쳐 뜯어냄

 


  解는 칼(刀)로 소(牛)의 뿔(角)을 자르는데서 나온 글자로 ‘소를 잡다’는 뜻이다.  그것은 몸의 각 부분을 풀어 헤치는 것과 같으므로 ‘풀다’는 뜻을 가지게 되었다.  解決, 解答, 解放, 解釋, 分解, 誤解 등 많다.
  莊子에 나오는 포정(苞丁)은 文惠君의 廚房長으로 소를 잡는데 達人의 境地에 든 사람이었다.  무려 19년간이나 소를 잡아 눈으로 보지 않고 마음으로 잡으며 뼈마디를 건드리지 않고 틈새로 칼날을 놀리므로 그동안 한번도 칼을 갈지 않았을 정도다.  莊子는 소잡는 것을 ‘解牛’라고 表現했다.
  體는 骨(뼈 골)과 豊(풍성할 풍)의 結合이다.  豊은 祭器위에 가득 담긴 祭物의 模襲으로 ‘豊富하다, 具備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곧 體는 ‘뼈가 充分히 갖추었다’는 뜻이 된다.  옛 사람들은 우리 人體를 12部分으로 나누었는데 하나같이 뼈에 連結되어 있다고 믿었다.  곧 體는 본디 人體를 뜻했는데 後에 오면 動物, 事物의 몸체도 뜻하게 되었다.  體軀, 體力, 體育, 物體, 身體, 全體, 形體 등 많다.
  따라서 解體라면 소를 잡듯 ‘몸체를 풀어 헤친다’는 뜻이 된다.  지금은 ‘뜯어내다’는 뜻으로 使用하고 있다.  옛 朝鮮總督府 建物이 解體, 撤去되어 歷史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되었다.  贊反 與論이 있지만 이를 契機로 民族 精氣는 물론 다시 한번 國權의 所重함을 認識해야 할 것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4 古色蒼然 셀라비 2015.04.18 2212
443 伯牙絶絃 [1] 이규 2013.04.15 2208
442 兒 童 이규 2013.10.09 2207
441 迎 入 [1] 이규 2013.06.18 2200
440 鷄肋 셀라비 2014.12.17 2183
439 欲速不達 이규 2013.09.13 2181
438 南柯一夢 이규 2013.04.11 2181
437 季布一諾 셀라비 2015.01.03 2178
436 累卵之危 LeeKyoo 2014.02.02 2166
435 井底之蛙 이규 2013.10.05 2165
434 改 革 이규 2013.09.19 2160
433 鷄鳴拘吠 셀라비 2014.12.25 2155
432 契酒生面 셀라비 2014.12.18 2154
431 駭怪罔測 셀라비 2013.08.04 2152
430 한자어의 짜임 - 주술 관계 이규 2012.11.26 2140
429 傾國之色 셀라비 2014.12.09 2126
428 셀라비 2015.04.02 2116
427 舊 臘 이규 2013.08.16 2112
426 總 統 이규 2013.08.19 2108
425 조카 이규 2015.04.21 2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