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38
어제:
257
전체:
762,440

한자 破 綻

2014.02.28 20:59

셀라비 조회 수:1789

破 綻

깨뜨릴

터질

 

 

그릇 따위가 깨지거나

옷이 해지는 것

 

 

는 돌()의 껍질()을 벗기는 것이며로 고정()시키는 것을 말하는데, 그것은 옷이 해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의 본디 뜻은해진 옷이며 옷이 해져 속살이 허옇게 드러나는 것이 綻露. 破綻그릇 따위가 깨지거나 옷이 해지는 것으로」「허점을 말한다. 물론 그렇게 되면 사용할 수가 없다. 따라서 지금은 일이 그르치게 되는 뜻으로 사용된다.

中國 三國時代 赤壁大戰이 있기 直前의 일이다. 周瑜曹操百萬大軍目前에 두고 걱정이 泰山같았다. 그래서 나온 것이 유명한 詐降計(거짓 항복하는 계략). 周瑜는 함택(咸澤)을 시켜 詐降書(거짓 항복문서)를 바치게 한다. 그러나 詐降書를 읽어본 曹操는 오히려 冊床을 치면서 벽력(霹靂)같이 화를 냈다. “네놈들은 術策을 부리고 있다. 내 네 놈들의 그 破綻(허점)을 알려 주지. 降伏時間明示하지 않았느냐. ” 그러나 咸澤은 조금도 흐트러짐 없이 堂堂하게 말했다. “主人背反하는 데 어찌 時間한단 말입니까. 兵法을 익혔다면서 承相께서는. ” 그제서야 曹操自身의 잘못을 빌었다. 그러나 그것이 周瑜의 꾀였을 줄이야. 破綻(허점)까지 눈치챈 曹操였지만 赤壁大戰에서 周瑜軍士에게 大敗하고 만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4 破釜沈舟 이규 2013.02.21 1311
383 高枕無憂 이규 2013.02.22 1481
382 盲人摸象 이규 2013.02.25 1498
381 道不拾遺 이규 2013.02.27 1439
380 擧足輕重 이규 2013.03.01 1486
379 患難相恤 이규 2013.03.02 1420
378 理判事判 이규 2013.03.07 1336
377 謁聖及第 이규 2013.03.12 1470
376 燎原之火 이규 2013.03.14 1690
375 討 伐 이규 2013.03.17 1455
374 跛行 이규 2013.03.18 1448
373 窈窕淑女 이규 2013.03.19 1219
372 杜鵑 이규 2013.03.20 2009
371 似而非 이규 2013.03.21 1466
370 氷炭不容 이규 2013.03.24 1612
369 安貧樂道 이규 2013.03.25 1446
368 居安思危 이규 2013.03.26 1503
367 沐猴而冠 셀라비 2013.03.26 1457
366 月下老人 이규 2013.03.28 1437
365 守株待兎 이규 2013.03.29 1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