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87
어제:
286
전체:
767,691

飜覆

2013.01.29 20:54

이규 조회 수:1371

 

飜 뒤집을 번
覆 엎지를 복


飜覆-말이나 뜻을 뒤집음

 

  飜은 番(차례 번)과 飛(날 비)의 結合이다.  흔히 番뒤에 羽를 붙이기도 한다.  飛나 羽는 모두 새의 날개를 본떠 만든 象形文字이다.  새는 여러 차례(番) 날개짓(飛)을 하면서 난다.  그것은 날개를 뒤집는 것과도 같다.  따라서 飜은 ‘뒤집다’의 뜻이 된다.  飜案, 飜譯, 飜意가 있다.
  覆은 亞(덮을 아)와 復(회복할 복, 다시 부)의 結合이다.  곧 덮었다가 다시 일으켜 세우는 것이다.  그래서 ‘뒤엎다’, ‘엎어지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覆蓋(복개), 覆面, 顚覆(전복)이 있다.  參考로 覆은 ‘부’로도 發音하는데 이 때는 ‘덮다’는 뜻을 가진다.  따라서 嚴密히 말해 覆蓋, 覆面은 각기 부개, 부면이라 하는 것이 옳다.
  飜覆은 마치 손바닥을 뒤집듯이(反掌) ‘엎고 뒤집는 것’을 말한다.  흔히 한번 했던 말을 거둬 들일 때 使用한다.
  東西古今을 莫論하고 信義는 매우 重視됐던 德目이다.  孔子는 그것을 앞장서서 强調했다.  治國의 세가지 條件으로 武器, 食糧, 信義를 들면서 信義를 第一의 德目으로 들었다.  爲政者에게 信義가 없다면 天地間에 몸둘 곳이 없어진다고 했다.  먹는 것을 ‘하늘’로 여겼던 그들이지만 信義는 그것보다 더 重視되었던 것이다.
  손바닥을 뒤집기는 쉽다.  그래서 ‘如反掌’이라는 말도 있다.  그러나 말을 손바닥처럼 뒤집는다면 그 弊害는 크다.  특히 公人인 境遇에는 더욱 그렇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4 割據 셀라비 2012.11.09 1530
83 患難相恤 이규 2013.03.02 1529
82 水魚之交 이규 2013.04.25 1526
81 應接不暇 이규 2013.05.08 1513
80 刻骨難忘 [1] 셀라비 2014.11.19 1512
79 匹夫之勇 이규 2013.05.11 1512
78 野合而生 이규 2013.04.02 1510
77 苛政猛於虎 셀라비 2014.05.03 1508
76 國 家 이규 2013.06.10 1505
75 枕流漱石 셀라비 2014.08.30 1498
74 亡國之音 셀라비 2014.08.15 1496
73 刻舟求劍 셀라비 2014.11.21 1493
72 白 眉 셀라비 2014.09.26 1486
71 賂物 이규 2012.12.11 1486
70 文 字 이규 2013.07.06 1482
69 未亡人 셀라비 2014.10.29 1481
68 告由文 이규 2013.07.08 1480
67 周 年 이규 2013.06.20 1477
66 糟糠之妻 셀라비 2014.10.14 1469
65 古 稀 셀라비 2014.09.22 1469